일어학사 200900153 김지윤

일어학사
명사•부사•연체사•
접속사•감탄사
200900153 김지윤
목
•
•
•
•
•
차
명사
부사 (상태부사, 정도부사, 호응부사)
연체사
접속사
감탄사
♬ 품사 ♬
동사
활용이 있다
술어가 된다
형용사
형용동사
주어가 된다
자립어
활용이 없다
수식어가 된다
용언수식어
부사
체언수식어
연체사
수식어가 되지 않는다
부속어
명사
접속사
감탄사
활용이 있다
조동사
활용이 없다
조사
♬ 명사 ♬
★명사란?
•활용하지 않는 자립어로서 사물의 명칭을 나타내는 것.
•명사는 그것만으로 주어가 될 수있다.
•명사는 체언(体言)이라고도 한다.
♬ 명사 ♬
보통명사
• 같은 종류의 물건에 공통적으로 쓰이는 것
•春,雨,花,人,心
고유명사
• 인명 * 지명 등, 하나의 사물에만 쓰는 이름
• 源氏物語 , 東京 , 豊臣秀吉
수사
형식명사
대명사
• 물건의 수량 또는 순서를 나타내는 것
• 一人 , 一つ , 三年
• 명사의 실질적인 의미를 잃고 형식적으로 쓰이는 것
• こと , もの , ほど , ゆゑ
• 사물의 이름 대신으로 사용하는 것
• これ , それ , かれ
♬ 여기서 잠깐! ♬
• 보통 명사는 일반적인 사물의 이름을 나타낸다. 보통명사에는 구체
적인 형태를 갖춘 명사와 추상적인 개념을 나타내는 명사가 있다.
구체적인 명사
추상적인 명사
정의
구체적인 형태를
갖춘 명사
추상적이고 감정을
나타내는 명사
예
目, 本, 鉛筆
平和, 幸せ
♬ 여기서 잠깐! ♬
• 형식 명사의 정의와 특징
→ 원래 가지고 있던 의미가 변하거나 희박해져 구체적 의미를 나타
내지 못하고 형식적으로 사용되는 명사.
→ 명사이기는 하지만 단독으로는 주어가 될 수 없고, 다른 말의 수식
을 받아 사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 일반적으로 히라가나로 표기한다.
예문)
一度そこに行ったことがある。
한 번 거기에 간 적이 있다.
今いった情実ゆゑ
지금 말한 실정이므로
お許しのほど願い上げるげます。
용서하시기 바랍니다.
♬ 여기서 잠깐! ♬
• 대명사에는 사람을 가리키는 인칭대명사, 물건 * 장소*
방향을 가리키는 지시대명사가 있다.
인칭대명사
(고어)
인칭대명사
(현대어)
1인칭
2인칭
3인칭
부정칭
あ*あれ
わ*われ
おのれ*予(余)
な*なれ
なんぢ
いまし*みまし
か*かれ
た*たれ
なにがし
それがし
1인칭
2인칭
3인칭
부정칭
わたくし
わたし
ぼく
おれ
あなた
きみ
おまえ
かれ
かのじょ
だれ
♬ 여기서 잠깐! ♬
지시대명사
(현대어)
근칭
중칭
원칭
부정칭
사물
これ
それ
あれ
どれ
장소
ここ
そこ
あそこ
どこ
こちら
こっち
そちら
そっち
あちら
あっち
どちら
どっち
방향
♬ 부사 ♬
★부사란?
•
•
•
•
자립어로서 활용이 없고 단독으로 연용수식어가 될 수 있는 것.
성질에 따라 상태 부사 * 정도 부사 * 호응 부사로 나뉜다.
주로 뒤에 오는 용언, 즉 동사나 형용사와 형용동사를 수식한다.
그 외에 다른 부사나 체언을 수식하기도 한다.
① 상태 부사
• 동사 * 작용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 주로 동사를
수식한다.
• やがて*さと*ふと*かつて*つくづく 등이 있다.
예문) 人々絶えずとぶらひに来 。
사람들이 끊임없이 문상하러 온다.
② 정도 부사
• 성질이나 상태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
주로 형용사, 형용동사를 수식한다.
• いと*あまた*いとど*ただ*なべて*やや 등
예문) 夜ふけて、やや涼しき風吹きけり。
밤이 깊어 좀 시원한 바람 불었다.
③ 호응 부사
• 술어의 특정한 표현과 호응한다.
1) 가정조건과 호응 : たとひ * もし *よし 등
예문) たとひ耳鼻こそ切れ失すとも
비록 귀와 코가 잘려 없어진다 해도
2) 추량과 호응 : おそらく * けだし * さだめて 등
예문) この定では舞いも定めてよかるらむ。
이 정도라면 춤도 필시 훌륭할 것이다.
3) 부정과 호응 : あへて * おほかた * さらに 등
예문) さらにえ許させたまはず。
결코 용서하지 않으시다.
③ 호응 부사
4) 금지와 호응 : な(~そ) * ゆめゆめ 등
예문) かくな急ぎそ。
이렇게 서두르지 마라.
5) 소망 등과 호응 : いかで * いつしか 등
예문) 世の中に物語といふもののあんなるを、いかで見ばやと思ひつつ、
세상에 모노가타리라는 것이 있다는데, 어떻게 해서든 보고 싶다고 생각하며,
6) 반어와 호응 : あに * いかで 등
예문) 下として上に逆らふことは、あに人臣の礼たらんや。
아랫사람으로서 윗분에게 거역 하는것은, 어찌 신하의 예이겠는가.
♬ 연체사 ♬
★연체사란?
체언을 수식하는 연체수식어로서
활용을 하지 않는 자립어
•
참조 : 연체사는 모두 다른 품사에서 전성한 것.あらゆる는
동사あり의 미연형에 조동사ゆ의 연체형이 결합하여 생김.
♬ 연체사 ♬
• 연체사의 종류
* ( )안은 현대어
あらゆる(あらゆる)
あらぬ(とんでもない)
ある(ある)
いはゆる(いわゆる)
去んじ(さる)
かかる(こんな)
来たる(くる)
さしたる(それほどの)
させる(たいした)
さる*さんぬる(さる)
예문)
ある人弓射ることを習ふ。
어떤 사람이 활 쏘는 것을 배우다.
♬ 접속사 ♬
★접속사란?
• 단어와 단어, 구와 구, 문과 문을 연결시켜
그것들의 전후관계를 의미상에서
명확하게 해주는 역할을 하는 자립어.
• 접속사는 활용을 하지 않는다.
♬ 접속사 ♬
순접
• 순접관계를 나타낸다. 앞의 내용에 대한 원인 * 이유, 결과를 나타낼 때 쓰인다.
• されば*さらば*しかれば*しからば*すなはち
역접
• 역접관계를 나타낸다. 앞에 내용에 맞지 않거나 반전 될 때 쓰인다.
첨가
• 앞의 내용에 대해 다른 것을 더해 준다.
나열
• 앞의 것과 같은 자격으로 나열한다.
보충
• 앞의 내용을 보충하거나 설명을 더해준다.
• ただし
전환
• 앞의 문에 대해 화제를 바꾸거나 새로운 화제를 꺼낼 때 쓴다.
• かかれど*さりながら*さるに*さるは*さりとも
• かつ*しかして*しかも*なほ
• および*ならびに*また*あるいは
• さて*そもそも
♬ 접속사 ♬
1) 순접의 예문 -
みさごは荒磯に居る。すなはち人を恐るるが故なり。
물수리는 거친 해안가에 산다. 그것은 사람을 겁내하기 때문이다.
2) 역접의 예문 -
川中へ落ちぬ。されどもちょとも水にもおぼれず。
강속으로 도망쳤다. 그래도 조금도 물에도 빠지지 않고,
3) 첨가의 예문 -
ゆく河の流れは絶えずして、しかももとの水にあらず。
흘러가는 강물은 마르지 않고, 더구나 원래의 물이 아니다.
4) 나열의 예문 -
ありがたきもの、 舅にほめらるる婿、また、 姑に思はるる嫁の君
좀처럼 드문 것. 장인에게 칭찬 받는 사위, 또 시모에게 귀여움 받는 며느님
5) 보충의 예문 -
仰せのことはいとも尊し。ただし、この玉たはやすくえ取らじを。
분부하신 일은 참으로 존귀합니다. 단, 이 옥은 쉽사리 취할 수 없을텐데요.
6) 전환의 예문 -
そもそも、 歌の様 、 六つなり。
대저 노래의 양식은 여섯이다.
♬ 감탄사 ♬
★감탄사란?
• 자립어로서 활용을 하지 않으며
감동, 응답, 말을 거는 것을 나타내는 것.
• 독립성이 강하다.
(감탄사만으로 하나의 문장이 될 수 있다.)
• 감동사 또는 간투사라고도 불린다.
♬ 감탄사 ♬
* ( ) 안은 현대
어
감동
말을 걸 때
응답
• ああ(ああ) * あっぱれ(ああ*おお) * あな(ああ*あれ)*
あはれ(ああ) * あら * あれ* すは(あっ)*や*やや
• いかに(おい*やあ) * いざ(さあ) * いで(さあ)
* なう(もしもし*ねえ)
• いさ(さあ) * いで(いや) * いな(いや) * を(はい)
* う* おう * おうおう * えい
♬ 감탄사 ♬
1) 감동의 예문
あっぱれ、よからう大将軍に組まばや。
아 , 좋은 대장군과 맞붙고 싶다.
2) 말을 걸 때의 예문
いざ、かぐや姫、きたなき所にいかでか久しくおはせむ。
자 가구야히메, 더러운 곳에 어째서 오래 계시려는 겁니까.
3) 응답의 예문
いな、かくては受け取らじ。
아니, 이대로는 받을 수 없을 걸.
참고문헌
• 한미경, 『일본어 고전문법』, 태학사, 2004.
• 윤상실,윤호숙,황광길 공저,『일본어학의 이해』, 제이엔
씨, 20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