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어학사 명사•부사•연체사• 접속사•감탄사 200900153 김지윤 목 • • • • • 차 명사 부사 (상태부사, 정도부사, 호응부사) 연체사 접속사 감탄사 ♬ 품사 ♬ 동사 활용이 있다 술어가 된다 형용사 형용동사 주어가 된다 자립어 활용이 없다 수식어가 된다 용언수식어 부사 체언수식어 연체사 수식어가 되지 않는다 부속어 명사 접속사 감탄사 활용이 있다 조동사 활용이 없다 조사 ♬ 명사 ♬ ★명사란? •활용하지 않는 자립어로서 사물의 명칭을 나타내는 것. •명사는 그것만으로 주어가 될 수있다. •명사는 체언(体言)이라고도 한다. ♬ 명사 ♬ 보통명사 • 같은 종류의 물건에 공통적으로 쓰이는 것 •春,雨,花,人,心 고유명사 • 인명 * 지명 등, 하나의 사물에만 쓰는 이름 • 源氏物語 , 東京 , 豊臣秀吉 수사 형식명사 대명사 • 물건의 수량 또는 순서를 나타내는 것 • 一人 , 一つ , 三年 • 명사의 실질적인 의미를 잃고 형식적으로 쓰이는 것 • こと , もの , ほど , ゆゑ • 사물의 이름 대신으로 사용하는 것 • これ , それ , かれ ♬ 여기서 잠깐! ♬ • 보통 명사는 일반적인 사물의 이름을 나타낸다. 보통명사에는 구체 적인 형태를 갖춘 명사와 추상적인 개념을 나타내는 명사가 있다. 구체적인 명사 추상적인 명사 정의 구체적인 형태를 갖춘 명사 추상적이고 감정을 나타내는 명사 예 目, 本, 鉛筆 平和, 幸せ ♬ 여기서 잠깐! ♬ • 형식 명사의 정의와 특징 → 원래 가지고 있던 의미가 변하거나 희박해져 구체적 의미를 나타 내지 못하고 형식적으로 사용되는 명사. → 명사이기는 하지만 단독으로는 주어가 될 수 없고, 다른 말의 수식 을 받아 사용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 일반적으로 히라가나로 표기한다. 예문) 一度そこに行ったことがある。 한 번 거기에 간 적이 있다. 今いった情実ゆゑ 지금 말한 실정이므로 お許しのほど願い上げるげます。 용서하시기 바랍니다. ♬ 여기서 잠깐! ♬ • 대명사에는 사람을 가리키는 인칭대명사, 물건 * 장소* 방향을 가리키는 지시대명사가 있다. 인칭대명사 (고어) 인칭대명사 (현대어) 1인칭 2인칭 3인칭 부정칭 あ*あれ わ*われ おのれ*予(余) な*なれ なんぢ いまし*みまし か*かれ た*たれ なにがし それがし 1인칭 2인칭 3인칭 부정칭 わたくし わたし ぼく おれ あなた きみ おまえ かれ かのじょ だれ ♬ 여기서 잠깐! ♬ 지시대명사 (현대어) 근칭 중칭 원칭 부정칭 사물 これ それ あれ どれ 장소 ここ そこ あそこ どこ こちら こっち そちら そっち あちら あっち どちら どっち 방향 ♬ 부사 ♬ ★부사란? • • • • 자립어로서 활용이 없고 단독으로 연용수식어가 될 수 있는 것. 성질에 따라 상태 부사 * 정도 부사 * 호응 부사로 나뉜다. 주로 뒤에 오는 용언, 즉 동사나 형용사와 형용동사를 수식한다. 그 외에 다른 부사나 체언을 수식하기도 한다. ① 상태 부사 • 동사 * 작용의 상태를 나타내는 것. 주로 동사를 수식한다. • やがて*さと*ふと*かつて*つくづく 등이 있다. 예문) 人々絶えずとぶらひに来 。 사람들이 끊임없이 문상하러 온다. ② 정도 부사 • 성질이나 상태의 정도를 나타내는 것. 주로 형용사, 형용동사를 수식한다. • いと*あまた*いとど*ただ*なべて*やや 등 예문) 夜ふけて、やや涼しき風吹きけり。 밤이 깊어 좀 시원한 바람 불었다. ③ 호응 부사 • 술어의 특정한 표현과 호응한다. 1) 가정조건과 호응 : たとひ * もし *よし 등 예문) たとひ耳鼻こそ切れ失すとも 비록 귀와 코가 잘려 없어진다 해도 2) 추량과 호응 : おそらく * けだし * さだめて 등 예문) この定では舞いも定めてよかるらむ。 이 정도라면 춤도 필시 훌륭할 것이다. 3) 부정과 호응 : あへて * おほかた * さらに 등 예문) さらにえ許させたまはず。 결코 용서하지 않으시다. ③ 호응 부사 4) 금지와 호응 : な(~そ) * ゆめゆめ 등 예문) かくな急ぎそ。 이렇게 서두르지 마라. 5) 소망 등과 호응 : いかで * いつしか 등 예문) 世の中に物語といふもののあんなるを、いかで見ばやと思ひつつ、 세상에 모노가타리라는 것이 있다는데, 어떻게 해서든 보고 싶다고 생각하며, 6) 반어와 호응 : あに * いかで 등 예문) 下として上に逆らふことは、あに人臣の礼たらんや。 아랫사람으로서 윗분에게 거역 하는것은, 어찌 신하의 예이겠는가. ♬ 연체사 ♬ ★연체사란? 체언을 수식하는 연체수식어로서 활용을 하지 않는 자립어 • 참조 : 연체사는 모두 다른 품사에서 전성한 것.あらゆる는 동사あり의 미연형에 조동사ゆ의 연체형이 결합하여 생김. ♬ 연체사 ♬ • 연체사의 종류 * ( )안은 현대어 あらゆる(あらゆる) あらぬ(とんでもない) ある(ある) いはゆる(いわゆる) 去んじ(さる) かかる(こんな) 来たる(くる) さしたる(それほどの) させる(たいした) さる*さんぬる(さる) 예문) ある人弓射ることを習ふ。 어떤 사람이 활 쏘는 것을 배우다. ♬ 접속사 ♬ ★접속사란? • 단어와 단어, 구와 구, 문과 문을 연결시켜 그것들의 전후관계를 의미상에서 명확하게 해주는 역할을 하는 자립어. • 접속사는 활용을 하지 않는다. ♬ 접속사 ♬ 순접 • 순접관계를 나타낸다. 앞의 내용에 대한 원인 * 이유, 결과를 나타낼 때 쓰인다. • されば*さらば*しかれば*しからば*すなはち 역접 • 역접관계를 나타낸다. 앞에 내용에 맞지 않거나 반전 될 때 쓰인다. 첨가 • 앞의 내용에 대해 다른 것을 더해 준다. 나열 • 앞의 것과 같은 자격으로 나열한다. 보충 • 앞의 내용을 보충하거나 설명을 더해준다. • ただし 전환 • 앞의 문에 대해 화제를 바꾸거나 새로운 화제를 꺼낼 때 쓴다. • かかれど*さりながら*さるに*さるは*さりとも • かつ*しかして*しかも*なほ • および*ならびに*また*あるいは • さて*そもそも ♬ 접속사 ♬ 1) 순접의 예문 - みさごは荒磯に居る。すなはち人を恐るるが故なり。 물수리는 거친 해안가에 산다. 그것은 사람을 겁내하기 때문이다. 2) 역접의 예문 - 川中へ落ちぬ。されどもちょとも水にもおぼれず。 강속으로 도망쳤다. 그래도 조금도 물에도 빠지지 않고, 3) 첨가의 예문 - ゆく河の流れは絶えずして、しかももとの水にあらず。 흘러가는 강물은 마르지 않고, 더구나 원래의 물이 아니다. 4) 나열의 예문 - ありがたきもの、 舅にほめらるる婿、また、 姑に思はるる嫁の君 좀처럼 드문 것. 장인에게 칭찬 받는 사위, 또 시모에게 귀여움 받는 며느님 5) 보충의 예문 - 仰せのことはいとも尊し。ただし、この玉たはやすくえ取らじを。 분부하신 일은 참으로 존귀합니다. 단, 이 옥은 쉽사리 취할 수 없을텐데요. 6) 전환의 예문 - そもそも、 歌の様 、 六つなり。 대저 노래의 양식은 여섯이다. ♬ 감탄사 ♬ ★감탄사란? • 자립어로서 활용을 하지 않으며 감동, 응답, 말을 거는 것을 나타내는 것. • 독립성이 강하다. (감탄사만으로 하나의 문장이 될 수 있다.) • 감동사 또는 간투사라고도 불린다. ♬ 감탄사 ♬ * ( ) 안은 현대 어 감동 말을 걸 때 응답 • ああ(ああ) * あっぱれ(ああ*おお) * あな(ああ*あれ)* あはれ(ああ) * あら * あれ* すは(あっ)*や*やや • いかに(おい*やあ) * いざ(さあ) * いで(さあ) * なう(もしもし*ねえ) • いさ(さあ) * いで(いや) * いな(いや) * を(はい) * う* おう * おうおう * えい ♬ 감탄사 ♬ 1) 감동의 예문 あっぱれ、よからう大将軍に組まばや。 아 , 좋은 대장군과 맞붙고 싶다. 2) 말을 걸 때의 예문 いざ、かぐや姫、きたなき所にいかでか久しくおはせむ。 자 가구야히메, 더러운 곳에 어째서 오래 계시려는 겁니까. 3) 응답의 예문 いな、かくては受け取らじ。 아니, 이대로는 받을 수 없을 걸. 참고문헌 • 한미경, 『일본어 고전문법』, 태학사, 2004. • 윤상실,윤호숙,황광길 공저,『일본어학의 이해』, 제이엔 씨, 2004.
© Copyright 2025 ExpyDo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