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미 의미란? 단어를 나타내는 개념 예)鳥(새): 날개가 있는 생물 알을 낳는다 →[새]라는 단어를 보고 사람들이 생각하는 것은 실제로 다양 하지만 어떤 공통된 특징이나 성질을 지님.이러한 사회적인 규정에 따라 그 단어가 나타내는 공통된 의미의 총체를 [객 관적 의미] 또는 [사전적 의미]라고 함.또 공통된 특징을 의 미특징이라고 부름 객관적 의미 중 단어가 가리키는 대상이 언어 외적으로 존 재하는 것을 [어휘적 의미]라고 함 조사,동사,접속사처럼 외부의 사물을 가리키지 않는 단어는 문장을 성립시키기 위한 구조를 형성하는 기능이 있는데 이 러한 의미를 [문법적 의미]라고 함 객관적 의미와 달리 그 단어가 사용된 특정한 경우에만 발생하는 특유의 의미를 [임시적 의미] 또는 [문맥적 의 미]라고 함 예)교실 안에서 교사가 「そこ!(거기!)」라고 했을 경우 이는 단순히 객관적인 장소를 가리킬 뿐 아니라 「そこの学生は 静かにしなさい!(거기 있는 학생 조용히 하세요!)」와 같 은 문맥적 의미를 가지는 경우가 있음 단어가 가지는 어휘적인 의미는 사회적 또는 문화적인 사 고방식에 의존하므로 그것이 나타내는 범위는 언어에 따 라 다름 예)「たかい」 산,코,목소리,가격 등에 널리 사용할 수 있음 단어의 의미가 나타내는 범위를 의미영역이라고 함 의미의 체계 어휘를 의미적인 면에 주목하여 조직화해 보면 어휘의 체계를 만들 수 있음 예)혈연관계에 있는 사람들의 명칭을 나타내는 단어(친족 어휘)를 혈통이라는 관점에서 조직화할 수 있음 そふ そぼ おば いとこ おじ おとうと めい ちち はは いもうと むこ おっと つま あに あね むすめ むすこ よめ おい まご まご 「道具」라는 단어의 체계를 의미가 구체적인 단어로부터 추 상화의 단계에 따라 구조를 만들 수 있음.상단에 있는 추상 적인 단어를 [상위어],하단에 있는 구체적인 단어를 [하위 어]라 함.이러한 형식의 구조는 어휘가 풍부한 의미영역에 서는 단계가 더 많고 어휘가 빈약한 영역에서는 단계가 적 은 경향이 있음 道具 武器 ピストル ゆみ 食器 楽器 ちゃわん コップ たいこ ふえ 특정한 좁은 영역에 한해서 의미의 대응관계에 따라 단어의 관계를 조직화하는 방법도 있음 예)온도형용사 6개의 관계 高 あつい 温度 あたたかい 低 すずしい ぬるい さむい つめたい 유의어 유의어:의미가 비슷한 단어의 집합 ・연령차에 의한 대립 「あんよ(유아어)」「足(성인어)」 ・지역 차에 따른 대립 「しがこ(동북지방 방언)」「こおり(공통어)」 ・어종에 따른 대립 「手紙(고유일본어)」「書簡(한자어)」「レター(외 래어)」 유의어 간의 의미관계 분류 관계 의미가 대부분 중복되는 관 계 의미의 범위가 상당 부분 다 르고,어느 한 쪽이 다른 한 쪽을 포섭하는 관계 양쪽 단어의 각각 일부분에 서 의미가 겹치는 관계 인접 관계 단어의 예 くさる・腐敗する、投手・ピッ チャー 木・樹木・材木、うまい・おいし い・上手だ 家・うち、きれいだ・美しい 貯金・預金、児童・生徒・学生 유의어는 객관적 의미 외에 어감이나 뉘앙스에 따 라 구별하여 사용되는 경우도 있음.어감은 객관적 의미에 대하여 주관적 의미 또는 주변적 의미라고 함 어감 예스러운 느낌 신선한 느낌 단어 乗合(のりあい)自動車(=バス) キッチン(=台所) 격식을 차린 느낌 우아한 느낌 천한 느낌 경멸하는 느낌 火災(=火事) あゆむ(=歩く) 食う(=食べる) くたばる(=死ぬ) 불길하여 꺼려지는 느낌 かたわ(片端)(=身体障害者) 대의어,반의어,대극어의 분류 대의어(対義語):「春・夏・秋・冬」와 같이 의미적으로 대립이 나 대응 관계에 있는 단어의 세트 반의어(反義語) :대의어 중에서도 「右ー左」와 같이 두 개 의 단어가 대립으로 나타나는 것 대극어(対極語):반의어 중에서 「あたりーはずれ」와 같이 어느 한 쪽을 부정하면 다른 한쪽의 의미가 되는 관계 ・「おいしい・うまい・じょうずだ-まずい・へただ」의 대의관계 うまい おいしい じょうずだ へただ まずい 대의관계의 분류 관계 단어 어느 한 쪽을 부정하면 반대의 生-死、ある-ない、男-女、 뜻을 가진 다른 의미가 되는 관 完成-未完成 계(대극어) 다른 한 쪽의 존재를 전제로 한 親-子、先生-生徒 관계 정도성(程度性)을 가지는 관계 방향성을 가지는 관계 시간성을 가지는 관계 같은 지시대상을 다른 관점에 서 파악하는 관계 상태의 변화에 관련된 것으로 서로 원래의 상태로 돌아가는 관계 大きい-小さい 右-左、上がる-下がる 朝・昼・夕・夜・晩 貸す-借りる、売る-買う 温める-冷やす、結ぶ-ほどく 의미의 변화 단어는 「にきびができる(여드름 이 생기다)」처럼 새로운 것이 생긴다는 의미 였으나,「入学できる(입학할 수 있다)」처럼 가 능의 의미로 의미 폭이 넓어졌음.이러한 변화 를 [의미의 확대]라고 함 「できる」라는 원래 상자,관,배 등을 널리 가리키 는 단어였으나 현재는 [배]의 의미에 한정됨. 이러한 변화를 [의미의 축소]라고 함 「ふね」는 「飯を食いに行こう(밥을 먹으로 가자)」라고 할 때는 밥만 먹으로 가자는 것이 아니라 식사 그 자체를 가리킴.이를 [의미의 일반화]라고 함.의미의 일반화는 「ウォークマン (휴대형 음악 재생기기)」「ゼロックスをとる(복사하다)」등 상품명이나 메이커 이름에서 유발되는 경우도 많음 반대로 본래 일반적인 것을 나타내는 단어가 특정한 것을 의미하는 경우도 있음.이러한 변화를 [의미의 특수화]라 고함 예)「お花見(꽃구경)」의 「花」는 특히 벚꽃을 가리키는 것으 로 튤립이나 해바라기를 쓸 수 없음 의미 변화 중에서도 가치의 변화를 동반하는 것이 있음 예) ・「女中(じょちゅう)」는 궁중에서 벼슬하던 여성 의 의미에서 부인,하녀의 의미로 변화되었음 →[의미의 하락] ・「さむらい」는 파수병으로부터 무사의 의미로 변화되었음→[의미의 향상] 구(句),문(文)의 의미 둘 이상의 단어가 문법적인 관계로 연결된 것을 「구(句)」라고 함.연결의 정도는 「電話をかける (전화를 걸다)」「電話をする(전화를 하다)」와 같 이 조합이 다소 느슨한 것에서 「碁(ご)を打つ(바 둑을 두다)」와 같은 고정적인 것까지 여러 단계 가 있음 의미상으로도 각 단어의 의미를 알면 구 전체를 해석할 수 있는 것과,결합이 완전히 고정되어 있 어서 「足を洗う(발을 씻다)=나쁜 집단으로부터 빠져나오다」와 같이 전체의 의미가 각각의 단어 의 의미에서 비롯되지 않은 관용구가 있음 단어가 가리키는 색은 피와 같 은 색을 본래의 뜻으로 가지며 어느 정도의 범위 가 있음 ・「赤信号」:본래의 색을 가리킴 ・「赤ワイン」:약간 보랏빛을 띤 빨강 ・「赤みそ」:다갈색을 가리킴 「赤(빨강)」라는 맛을 가리키는 것이 본래의 뜻 ・「甘いささやき(달콤한 속삭임) 」,「甘い親(관대한 부모)」등 비유적인 의미로도 사용됨.이들은 그 단어가 가지는 비유적 의미에 기인함 「甘い」:단 조사 「の」도 그 자체로 다양한 의미를 지님 예)「夏目漱石の本」 ・「夏目漱石が書いた本」 ・「夏目漱石について書かれた本」 ・「夏目漱石が持っていた本」 →몇가지로 해석이 가능함.이 경우 복수의 의미 중 어떤 의미로 해석할지는 앞뒤의 문맥에 따라 달라짐 문의 의미 ・「水!水」라고 했을 때 어느 정도의 물을 원하는지,컵 에 든 냉수인지 따뜻하게 데운 물인지는 문맥에 의해 구체화됨 ・「お茶にしましょう(차 한잔 합시다)」라는 문이 「休憩し よう(쉬자)」라는 의미가 되는 것은 장면에 의존함 문법 인간의 언어는 분절적인 존재라고 말함.즉 언어의 한 단위는 보다 작은 레벨의 요소로 성립되고 그 단위는 보다 큰 레벨의 단위를 구성함.[문법]이란 문을 구성 하기 위한 규칙성을 말함 ●통어론(문에서 단어까지의 레벨) ・太郎が学校に遅刻したので、担任の先生が彼を怒った。 → 太郎が学校に遅刻したので<종속절> + 担任の先生が彼を怒った<주절> 문의 일부인 주어와 술어를 가진 단어군은 [절]이라 불리는 단위임.일본어에서는 종속절,주절의 순서로 나타남 [절]의 하위 단위에 [구]라 불리는 단위가 있음.[구]란 주 어와 술어를 포함하지 않은 두 단어 이상으로 하나의 품사 적인 기능을 하는 단어군임 예)担任の先生が彼を怒った →担任の先生 <명사구> ・彼を起こった<동사구> ・「担任の先生」는 복수의 단어로 구성된 단위이나 이것이 전 체로서 하나의 명사와 같은 기능을 하고 있음.이러한 구를 [명사구]라 함 ・「彼を怒った」도 전체로서 하나의 동사와 같은 기능을 하고 있음.이것을 [동사구]라 함 하위에 위치하는 단위는 [단어]임.단어란 문 법상 가장 기본적인 단위임.사전의 표제어로서 등 록된 단위임 예)「担任の先生」→「担任」「の」「先生」의 3단어로 구 성 [구]의 문>절>구>단어 ●형태론(단어와 그 내부의 레벨) 형태론이란 단어의 형식이나 그 내부구조(어구성) 를 연구하는 언어학의 한 영역임 예)동사의 활용,복합어 연구 등 ●담화분석,텍스트언어학,문장론(문을 초월한 레벨) 복수의 문이 하나의 정리된 형태로 전개된 언어단위를 담 화,텍스트,문장이라고 함.이들은 거의 같은 의미로 사용된 다고 보아도 좋음 어떤 문에 생기는 [문법적]현상은 문 내부의 요인만으로 는 설명할 수 없는 경우가 있음 예)キム選手がまた決勝点を決めた。{○この/×その/○あの} 選手は苦しい時に本当に頼りになる。 →두 번째 문에서의 지시사 선택은 두 번째 문 내부를 살펴 보는 것으로는 설명할 수 없음.지시사,접속사,생략,반복 등의 문제는 문 레벨에서 설명할 수 없음 [문법]의 개념을 넓게 다룰 경우,통어론,형태론뿐만 아니 라 문을 초월한 레벨의 연구도 이에 포함됨 문의 구조 ●격(문의 골격) [격(格)]이란 명사와 문 안의 다른 단어와의 관계를 말함 예)太郎が店から家まで私の荷物を自転車で運ぶ。 「の」:「私」와 「荷物」라는 명사와 명사의 관계를 나타냄 「が」:「太郎」가 「運ぶ」라는 동작에 대한 동작주임을 나타냄 「から」동작에 대한 출발점 「まで」:동작에 대한 도착점 「を」:대상 「で」:도구 일본어에서는 격을 조사라는 형식이 표현하며 이들 조사 를 [격조사]라고 부름 격조사의 호칭 が격:주격 を격:대격 격 격의 に격:여격 の격:속 출편 패턴은 문의 골격을 이룸 예) ・「勉強する」라는 동사를 술어로 하는 「太郎が英 語を勉強した」라는 문은 <がーを>와 같은 구조 를 이루고 있음 ・「紹介する」라는 동사를 술어로 하는 「太郎が花 子に次郎を紹介する」라는 문은 <がーにーを> 격조사는 한 단어(명사)가 다른 단어와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형식이나,하나의 격 형식에 대응하는 의미는 다양함 예) ・「が」 太郎が泳いだ(동작주) 太郎が気絶した(경험자) 太郎はリンゴが好きだ(대상) ・「を」 窓を割った(대상) 東京を出発した(기점) ・「に」 太郎に話しかけた(상대) 箱に入れる(착점) ・「で」 鉛筆で書く(도구) 学校で学ぶ(장소) 歩道を歩いた(경로) 庭に松の木がある(장소) 地震に驚いた(원인) 暑さで物が腐る(원인) 60点で合格だ(기준) 문의 성분 문의 구성을 형식적인 관점에서 파악할 경우 크게 [격성 분][술어성분] [부사성분]으로 나눌 수 있음 예) 昨日 太郎が 花子と 映画を 見たらしい 부사성분 격성분 술어성분 격성분:명사+격조사 술어성분:뮨의 술어를 핵심으로 하며 다양한 문법형식이 이 에 붙는 경우가 있음.「見る」의 어간+「た」+「らしい」 부사성분:술어를 수식하고 그 양상을 상세하게 서술함 술어의 내부구조 예)a. (太郎が)食べる。 b. (太郎が)食べ・させ・られ・てい・た・らしい・よ。 a는 술어가 동사의 기본형만으로 이루어진 단순한 경우 b는 동사의 어간에 다양한 문법형식이 이어져 있음.다양 한 문법형식은 각각의 카테고리마다 출현하는 위치가 고 정되어 있음.술어성분에서 주요한 문법 카테고리는 다음 과 같은 순서로 출현함 (술어어간)-보이스-아스텍트-텐스-무드-종조사 食べ-させ・られ-てい-た-らしい-よ 문의 중요도(필수보어와 부차보어) 문에는 다양한 격성분이 출현할 수 있는데 모든 격성분이 동등한 중요도를 지니면서 문의 성립에 관여하는 것은 아님.문 구조의 양상을 결정짓는 것 은 술어인데 술어와의 결합 강도에 따라 격성분은 [필수보어] 와 [부차보 어]로 나뉨 ・필수보어:술어가 나타내는 사태를 묘사하기 위해 필요한 최소한의 성분 ・부차보어:필요 불가결한 요건이라고는 할 수 없는 성분 예) 子供が グラスを かなづちで 壊した。 太郎が 花子と 結婚した 太郎が 花子と 映画を 見た 필수보어와 부차보어의 구별은 의문을 가지느냐 아니냐 로 시험해 볼 수 있음 a. グラスを壊したよ。 → 誰が? b. 子供が壊したよ。 → 何を? c. 子供がグラスを壊したよ。 → 필수보어가 빠져 있는 a,b는 사태의 묘사가 불완전함. 특별한 문맥이나 장면을 상정하지 않고 해석한다면 [누 가?][무엇을?]라는 의문을 가지기 쉬움.이에 비해 필수보 어가 모두 나타나 있는 c가 의문을 가질 가능성은 상대적 으로 낮다고 할 수 있음 문법 카테고리 문법 카테고리는 술어성분의 내부구조에서 파악 할 수 있음 食べ 어간 조사 させられ 보이스 てい た らしい よ 아스펙트 텐스 무드 종 ・보이스 (태, voice) ・아스펙트 (상, aspect) ・텐스 (시제, tense) 보이스 보이스:주어를 중심으로 하는 사태의 관여자가 술어의 작용과 어떠한 관계를 가지는지를 대립적으로 나타내는 카테고리(수 동문,사역문) 보이스적 대립을 이루는 두 문에서는 술어가 형태적으로 대립 하고 주어인 명사가 교체됨 예)ネコが ネズミを 追いかけた (쫓아갔다) ネズミが ネコに 追いかけられた (쫓겼다) 능동문과 수동문의 대립.수동문에서는 동사의 어간에 「られ」 가 추가됨 능동문에서는 「追いかける」라는 동작을 행하는 동작주 「ネコ」 가 주어이나 수동문에서는 「追いかける」의 대상인 「ネズミ」가 수동문 일본어의 수동문은 능동문과의 통어적인 대응관계에 따라 크게 [직접수동문]과 [간접수동문]으로 나뉨 ● 직접 수동문 日本人が この寺を 建てた(지었다) この寺が 日本人によって 建てられた(지어졌다) 직접수동문의 특징 ・동작과의 관계:수동문의 주어는 동사가 나타내는 동작의 대상임 ・피해의 의미:수동문의 주어가 피해를 입었다는 의미가 있는 경우와 없는 경우가 있음 ・동작주의 표시:동사가 나타내는 행위의 동작주는 수동문에서 주로 「に」「によって」등으로 표시됨 ●간접 수동문:직접수동문과 달리 주어가 능동문의 목적어가 아 닌 수동문 雨が 太郎が 山田さんが 渡辺さんが 었다) 降った(내렸다) 雨に マンションを 降られた(비를 맞았다) 建てた(맨션을 지었다) 山田さんに マンションを建てられた (와타나베씨는 아마다씨가 맨션을 지어서 피해를 입 간접 수동문의 특징 ・동작과의 관계:수동문의 주어는 동사가 나타내는 동작의 대상이 아님 ・피해의 의미:수동문의 주어가 어느 정도의 피해를 입었다는 의미 를 가짐 사역문 生徒が 英語を 勉強した(공부했다) 先生が 生徒に 사역문의 술어동사는 동사의 어간에 「させ」를 첨가 시킴 英語を 勉強させた(공부시켰다) 아스펙트 아스펙트:동사가 나타내는 작용이 어느 국면에 초점을 두고 있는 가와 관련된 카테고리임 太郎がグラウンドを走る (완성성) 太郎がグラウンドを走り始める (기동(起動)상) 太郎がグラウンドを走っている (계속상) 太郎がグラウンドを走り終わる (종결상) 机の上に花瓶が置いてある (결과상) 아스펙트 형식이 아무것도 붙어 있지 않을 경우는 동사가 나타내 는 움직임은 분할되지 않고 움직임 전체를 나타남 그에 반해 아스펙트 형식이 붙어있을 경우는 움직임이 분할되어 어느 특정 국면에 초점이 놓임(시작-도중-끝) 「ている」형의 아스펙트 ・「ている」형은 본래 움직임을 나타내는 술어동사에 붙어서 그 술어를 상태적인 의미로 바꾸는 것임 예)太郎がテレビを見ている (진행) 窓ガラスが割れている (결과) ・「ている」형의 가장 기본적인 의미는 [진행]과 [결과]임.둘의 차이는 동사의 의미적인 유형의 차이에서 옴 예)雨が降っている 太郎がご飯を食べている (진행) 棒が曲がっている 財布が落ちている (결과) ・[진행]:계속성이 있는 동사 ・[결과]:변화를 나타내는 동사 텐스 텐스:사태와 기준시의 전후관계와 관련된 카테고리 임.기준시란 보통 발화시를 말함 시제의 형식은 발화시를 기준으로 과거,현재,미래를 나타냄 시제를 나타내는 것은 술어의 기본형인 「スル」와 「シ タ」의 형식적 대립임 [スル」=「ル」형=비과거형 「シタ」=「タ」형=과거형 술어의 유형과 시제의 의미 ル형 タ형 동적술어 미래 정적술어 현재,미래 과거 과거 タ형은 술어의 유형을 불문하고 과거만을 나타냄 {昨日/*現在/*明日}私は駅前で買い物をした (동적술어) {昨日/*現在/*明日}その庭には池があった (정적술어) ル형은 동적술어일 경우는 미래를 나타내고 정적술어일 경우는 기본적으로 현재를 나타냄 {*昨日/*現在/明日}会議を行う (동적술어) {*昨日/現在/明日}私は忙しい (정적술어) 무드(모달리티) 화자의 심적 태도를 나타내는 카테고리 무드는 [구속적무드]와 [인식적무드]로 대별됨 구속적무드:서술내용의 성립에 관한 바람(희망)이나 당위성 등을 나타냄 君はもっと勉強するべきだ(당위) 一生懸命に頑張らなければならない(의무) もっとたくさん食べろ(명령) 明日はピクニックに行こう(의지) 인식적 무드:서술내용의 진위와 관련된 화자 의 판단을 나타냄 明日は雨が降るだろう (추량) かもしれない (가능성) はずだ (확신) ようだ (증거)
© Copyright 2024 ExpyDo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