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国語の特徴と韓国語教育

韓国語の特徴と韓国語教育
권재일(権
在一、クォン・ジェイル)
한글학회 회장(ハングル学会会長)
(韓国、ソウル大学
龍谷大学
教授)
国際学部
国際文化学会
和顔館 B201
2016.7.21(木)
11:00―12:30
1. 한국어와 한글의 위상
韓国語とハングルの位相 ‥‥‥‥‥‥‥‥‥‥‥‥‥‥‥‥
2.한국어의 계통론적 특징
韓国語の系統論的特徵
‥‥‥‥‥‥‥‥‥‥‥‥‥‥‥‥
2
4
3. 한국어의 유형론적 특징(1) – 어순
韓国語の類型論的特徵 (1) - 語順 ‥‥‥‥‥‥‥‥‥‥‥‥ 7
4. 한국어의 유형론적 특징(2) – 문법범주의 실현방법
韓国語の類型論的特徵 (2) - 文法範疇の実現方法 ‥‥‥‥‥ 10
5. 바람직한 한국어 교육법
韓国語教育の望ましい方法
‥‥‥‥‥‥‥‥‥‥‥‥‥‥ 16
참고문헌, 参考文献
1
1.한국어와 한글의 위상
1.韓国語とハングルの位相
1.1.韓国語の位相
1.1. 한국어의 위상
한국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크게 세 부류로 나
韓国語を使用する人々は大きく3つの分類に分け
눌 수 있다. 첫째, 한국어를 제1언어인 공용어로 사
ることができる。一つ目は、韓国語を第一言語である
용하는 경우이다. 한국과 북한의 주민이 여기에 속
公用語として使用する場合である。韓国と北朝鮮の住
한다. 2014년 Ethnologue(www.ethnologue.com)에
民 が こ こ に 属 す る 。 2014 年 の Ethnologue
따르면 한국어 사용자 수는 7,720만 명으로, 세계
(www.ethnologue.com)によると韓国語使用者数は
여러 언어 가운데 사용자수로 보면 13위이다.
7,720 万人で、世界の多くの言語のうち、使用者数で
見れば 13 位である。
둘째, 한국어를 제2언어로 사용하는 경우이다. 중국,
二つ目は、韓国語を第二言語として使用する場合であ
일본, 미국, 중앙아시아 지역 등 세계 각 지역에 살
る。中国、日本、アメリカ、中央アジア地域など世界
면서 중국어, 일본어, 영어, 러시아어 등 그 국가의
の各地域に住み、中国語、日本語、英語、ロシア語な
언어를 제1언어로 사용하고 가정이나 지역 사회에
どその国家の言語を第一言語として使用し家庭や地
서는 한국어를 사용하는 경우이다. 주로 한국계 이
域社会では韓国語を使用する場合である。主に韓国系
주민과 그 후손들이 여기에 속한다.
移民とその子孫たちがここに属する。
셋째, 외국어로서 한국어를 배워 사용하는 경우이다.
三つめは、外国語として韓国語を学び使用する場合で
그동안 한국이 경제적으로, 문화적으로 발전하면서
ある。その間韓国が経済的、文化的に発展しながら韓
한국에 관심을 가지고 한국어를 배우려는 외국인들
国に関心を持ち、韓国語を学ぼうとする外国人が増え
이 늘어나고 있다. 한국어 능력 시험에 응시하는 외
つつある。韓国語能力試験(TOPIK)を受ける外国人
국인 수가 처음 실시한 1997년에 2천여 명이던 것
数が試験を初めて実施した 1997 年には 2 千名余りで
이 2016년에는 30만 명을 넘어서는 것을 보면 한
あったのが 2016 年には 30 万名を超えることを見れ
국어를 배우려는 세계인이 많다는 것을 실감할 수
ば、韓国語を学ぼうとする世界の人々が多いというこ
있다.
とを実感できる。
또한 2007년 9월 제43차 세계지식재산권기구
また 2007 年 9 月に行われた第 43 回世界知識財産
(WIPO) 총회에서 한국어가 국제공개어로 채택되어,
権機構(WIPO)総会で韓国語が国際公開語として採
한국어로 국제 특허를 제출하거나 특허 내용을 열
択され、韓国語で国際特許を提出したり特許内容を閲
람할 수 있게 되었다. 2007년부터 아시아유럽연합
覧できるようになった。2007 年からアジア・ヨーロッ
외교장관 회의에서도 한국어가 동시통역어로 선정
パ連合外交長官会議でも韓国語が同時通訳として選
되었다. 이렇게 한국어는 이제 국제어로 한 걸음 다
定された。このように韓国語はもはや国際語としての
가가게 되었다.
一歩を踏み出したのである。
2
1.2.ハングルの位相
1.2. 한글의 위상
한국어뿐만 아니라 한국어를 적는 글자인 한글의
韓国語だけでなく韓国語を記す文字であるハン
위상도 대단하다. 잘 알다시피 한글, 즉 훈민정음은
グルの位相もまた素晴らしい。よく御存じのとおり
세종대왕이 세종 25년(1443년) 음력 12월에 창제
ハングル、即ち訓民正音 は世宗 大王が世宗 25 年
하여 세종 28년(1446년) 음력 9월 상순에 반포한
(1443 年)の旧暦 12 月に創製し、世宗 28 年(1446
문자이다. 훈민정음은 창제한 사람, 창제한 날짜가
年)旧暦 9 月上旬に頒布した文字である。訓民正音
정확하게 알려져 있으며 창제한 원리를 적은 기록
は創製した人物と日時が明確に知られており、また
이 전해 오는 이 세상에서 유일한 문자이다. 창제한
創製した原理を記した記録が現在にも伝わってき
원리를 풀이하고 보기를 든 책이 바로 ≪훈민정음
ているこの世界で唯一の文字である。創製した原理
해례≫라는 책이다. 이 책은 한국의 국보이며, 1997
を解釈し例を挙げた本がまさに『訓民正音解例』と
년에는 유네스코에서 세계기록유산으로 지정하여
いう本である。この本は韓国の国宝であり、1997 年
기념하고 있다.
にはユネスコにて世界記録遺産として指定しこれ
くん みん せいおん
セジョン
を記念している。
유네스코는 1990년부터 해마다 9월 8일 세계 문
ユネスコは 1990 年から毎年 9 月 8 日の世界識字
해의 날을 맞이하여, 한 해 동안 세계 여러 곳에서
の日に合わせてその年 1 年の間世界の様々な場所で
글자 모르는 사람들에게 글자를 보급한 개인과 단
文字を知らない人々に文字を普及した個人と団体
체에게 상을 수여하는데, 그 상이 바로 세종대왕 문
に賞を授与するのだが、その賞の名前がまさに世宗
해상이다. 이는 창제 원리가 매우 과학적이어서 배
大王識字賞である。これは創製原理が非常に科学的
우기 쉬운 한글을 통해 백성들의 문해 능력을 높인
であり学びやすいハングルを通じて当時の百姓た
세종대왕의 훈민정음 창제 정신을 높이 기리는 것
ちの識字能力を高めた世宗大王の訓民正音創製の
이다.
精神を高く褒め称えるものだ。
一方で 2009 年に訓民正音学会がインドネシアの
한편 2009년 훈민정음학회가 인도네시아의 소수
少数民族言語のチアチア語をハングルで表記する
민족 언어 찌아찌아어를 한글로 표기하도록 한 일
よう行った事業は韓国語ではない他の言語をハン
은 한국어가 아닌 다른 언어를 한글로 표기하게 되
グルで表記するようになったという点で、意義深い
었다는 점에서 뜻 깊은 일이다. 지금껏 한국어만의
ことである。韓国語だけの文字であるという限界を
글자라는 한계를 넘어서지 못하였던 한글이 한반도
超えられなかったハングルが韓半島を抜け出して
를 벗어나 세계로 진출한 것이다. 이러한 일이 더
世界に進出したということだ。このような事がより
추진된다면 한글을 지구촌 사람들과 함께 나누어
推進されたのならハングルを地球全体の人々とと
쓰는 길이 열릴 것이며, 문맹 타파라는 세종대왕의
もに分かち合い使う道が開けるだろうし、読み書き
한글 창제 이념을 널리 펼치는 길이 될 것이다.
のできない人々をなくすという世宗大王のハング
ル創製理念を広く広げる道になるであろう。
3
2. 한국어의 계통론적 특징
2.韓国語の系統論的特徴
2.1. 세계의 언어 분류
2.1.世界の言語分類
흔히 한국어를 이러한 세계 여러 언어들과 견
よく韓国語をこのような世界の様々な言語と比
주어서 말할 때, 흔히 알타이어족에 속한다, 교착
こうちゃくご
べて語る際、よくアルタイ語族に属する、膠着語に
어에 속한다고 하는 것은 무엇을 뜻하는 것일까?
属するというがこれは何を意味するのだろうか?
현재 지구상에서 사용되는 수많은 언어들은 다른
現在地球上で使用されている数多くの言語は他の
언어에 비해 더 비슷하거나 더 가까운 것이 있어,
言語に比べてより似てたり近いものがあり、互いに
서로 가까운 것끼리 묶어 분류해 볼 수 있다. 분
近いもの同士結びつけて分類してみることができ
류하는 기준에는 두 가지가 있다. 첫째는 언어의
る。分類する基準には二つの種類がある。
구조적 특징에 근거하는 기준인데, 이를 언어유형
一つ目は言語の構造的特徴に根拠する基準である
론적 분류라 한다. 둘째는 언어의 기원과 역사에
が、これを言語類型論的分類という。二つ目は言語
근거하는 기준인데, 이를 언어계통론적 분류라 한
の起源と歴史に根拠する基準であるが、これを言語
다.
系統論的分類という。
언어유형론적 분류란 언어가 지니는 음운 구조,
言語類型論的分類とは言語が持つ音韻構造、語彙
어휘 구조, 문장 구조에 따라 같은 특징을 가진
構造、文章構造によって同じ特徴を持つ言語同士を
언어들끼리 묶어서 나누는 방식이다. 예를 들어
まとめて分ける方式である。例えば文章を構成する
문장을 구성할 때 한국어나 일본어처럼 목적어가
とき韓国語や日本語のように目的語が叙述語の前
서술어 앞에 놓이는 언어들이 있는가 하면(동호
に置かれる言語があるかと思えば(ドンホが
가 민희를 사랑한다), 영어나 중국어처럼 목적어
가
서술어
뒤에
놓이는
언어들이
ヒを
있다(John
ミン
愛している)、英語や中国語のように目的語
が叙述語の後ろに置かれる言語もある(John loves
loves Mary). 이러한 문법 구조에 따라서도 세계
Mary)。このような文法構造によっても世界の多く
여러 언어들을 몇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の言語をいくつかの種類に分けてみることができ
る。
言語系統論的分類とはその言語の根がどこにあ
언어계통론적 분류란 그 언어의 뿌리가 어디에
り、同じ根から別れ出て来た言語にはどのような言
있으며, 같은 뿌리에서 갈려나온 언어에는 어떤
語があるのかを明らかにして分ける方式だ。このよ
언어들이 있는지를 밝혀 나누는 방식이다. 이렇게
うに起源が同じ言語同士まとめたものを語族とい
기원이 같은 언어들끼리 묶은 것을 어족이라 하
うが、アルタイ語族、ウラル語族、中国・チベット
는데, 알타이어족, 우랄어족, 중국티베트어족, 인
語族、インド・ヨーロッパ語族、アフリカ・アジア
도유럽어족, 아프리카아시아어족 등이 그 예이다.
語族などがその例である。
4
2.2.韓国語の系統
2.2. 한국어의 계통
일반적으로 한국어가 알타이어족에 속한다고 말
一般的に韓国語がアルタイ語族に属すると言われ
하고 있다. 이 말은 한국어는 알타이어족에 속하는
ている。この言い分は、韓国語はアルタイ語族に属す
언어들과 같은 계통일 가능성이 높다는 뜻이다. 알
る言語と同じ系統である可能性が高いという意味で
타이어족에 속하는 것으로 알려진 언어에는 몽골어
ある。アルタイ語族に属するものとして知られる言語
파, 만주-퉁구스어파, 튀르크어파가 있다. 중국에는
にはモンゴル語派、満州―ツングース語派、テュルク
몽골어파, 만주-퉁구스어파에 속하는 여러 소수민
語派がある。中国にはモンゴル語派、満州―ツングー
족 언어들이 있다. 튀르크어파에 속하는 언어는 터
ス語派に属する多くの少数民族の言語がある。テュル
키어를 비롯하여 중앙아시아의 카자흐어, 우즈벡어,
ク語派に属する言語はトルコ語をはじめとして中央
アジアのカザフスタン語、ウズベキスタン語、キルギ
키르기스어 등이다.
ス語などがある。
그러면 한국어가 알타이언어와 어떤 공통성이 있
それなら韓国語がアルタイ言語とどのような共通
어서 알타이어족에 속한다고 보게 되었는가? 우선
性がありアルタイ語族に属するのだとみるのか?
음운 특징이 비슷하다. 만주-퉁구스언어, 몽골언어,
先ず音韻の特徴が似ている。満州―ツングース語、モ
튀르크언어, 한국어에 모음조화가 공통적으로 나타
ンゴル語、テュルク語、韓国語に母音調和が共通的に
난다. 또한 문법도 비슷하다. 다음 예는 각각 몽골
現れる。また文法も似ている。次の例は各々モンゴル
語派のとある言語であるタゴル語と満州―ツングー
어파의 한 언어인 다고르어와 만주-퉁구스어파의
ス語派のある言語であるオウォンキ語の文章である。
한 언어인 어웡키어의 문장이다. 이들 문장을 살펴
これらの文章を探ってみると、すべて韓国語と語順が
보면, 모두 한국어와 어순이 일치한다. ‘주어+목적
一致する。
「主語+目的語+叙述語」の順序で、語順だ
어+서술어’의 순서이고, 어순뿐만 아니라 다양하게
けでなく多様に語尾も発達しているのを見ることが
어미들도 발달되어 있음을 볼 수 있다.
できる。
əwəə
budaa
sjan-ijə-bəj
əwəə budaa
sjan-ijə-bəj
čee
wəə-jəə-bəj
ənin
ǰəəkti
oloo-ǰi-rən
čai
im-ǰi-rən.
母は
ご飯を
炊いて
は
お茶を 飲む。
čee
ačaa
wəə-jəə-bəj
ənin
čai
oloo-ǰi-rən
ǰəəkti
amin
im-ǰi-rən.
어머니는 밥을 짓고 아버지는 차를 마신다.
ačaa
amin
父
그러나 여기서 유의할 것은 이러한 어순을 가진
언어는
한국어나
있다는
しかしここで留意することはこのような語順を持
것이다. 또 모음조화도 한국어나 알타이언어 이외의
つ言語は韓国語やアルタイ語以外にもあるというこ
언어에도
가지
とだ。また母音調和も韓国語やアルタイ言語以外の言
현상만으로 한국어가 알타이언어와 계통이 같다고
語にもある。それゆえそのようないくつかの現象だけ
단정할
어순이라든가
で韓国語がアルタイ語と系統が同じであると断定す
모음조화는 언어 간의 계통을 단정할 만한 근거가
ることはできない。もう一度言うなら、語順とか母音
될 수 없다는 뜻이다.
調和は言語間の系統を断定しうる根拠にならないと
있다.
수는
알타이언어
그러므로
없다.
다시
이외에도
그러한
말하면,
몇
いうことだ。
5
다만 참고가 될 뿐이다. 더욱 주목할 만한 것은 위
ただ参考になるだけである。さらに注目すべきことは
의 문장 가운데서 한국어와 비슷한 단어가 하나도
上の文章において韓国語と似た単語が一つもないと
없다는 사실이다. 무엇보다도 두 언어가 같은 계통
いう事実だ。何よりも二つの言語が同じ体系だという
이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서는 체계적인 음운 대
ことを証明するためには体系的な音韻の対応がなけ
응이 있어야 한다. 그 동안 한국어 계통에 대한 여
ればならない。その間韓国語体系に対する多くの研究
러 연구가 국내외에서 이루어졌지만, 아직 비교언어
が国内外でなされたが、未だ比較言語学的で体系的な
학적으로 체계적인 음운 대응이 충분히 입명되지
音韻対応が十分に立証されていない。
않았다.
그리고 또 한 가지 문제가 있다. 학계에서는 위의
そしてまた一種の問題がある。学会では上の三つの
세 어파를 묶어 알타이어족으로 보는 것에 동의하
語派をまとめてアルタイ語族とみることに同意する
는 학설이 있는가 하면(알타이어족설) 동의하지 않
学説があるかと思えば(アルタイ語族説)同意しない
는 학설도 있어(비알타이어족설), 알타이어족의 존
学説もあり(非アルタイ語族説)、アルタイ語族の存
재 자체에 대해서도 아직 불확실한 편이다. 그래서
在自体についても未だ不確実なほうである。そのため
지금까지의 연구를 바탕으로 하면 한국어의 계통은
今までの研究をもとにすると韓国語の系統は次と同
다음과 같이 말하는 것이 가장 정확하고 타당하다
じく言うことが最も正確で妥当と言えるだろう。
고 하겠다.
アルタイ語族が成立するならば、韓国語はアルタイ
알타이어족이 성립한다면, 한국어는 알타이어족
語族に属する可能性が高い。しかしまだ言語学的に、
에 속할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아직 언어학적
比較言語学的に立証されていない。
으로, 비교언어학적으로 입증되지 않았다.
したがって韓国語の根がどこにあるのか、どの語族
따라서 한국어의 뿌리가 어디에 있는지, 어느 어
に属するのかはこの先個別的なアルタイ言語をより
족에 속하는지는 앞으로 개별적인 알타이언어를 더
徹底に調査し韓国語と比較して体系的な音韻対応を
철저히 조사하여 한국어와 비교하여 체계적인 음운
探す一方、韓国語の多くの方言を調査してその中に込
대응을 찾는 한편, 한국어의 여러 방언을 조사하여
められている韓国語の昔の姿を探して研究しなけれ
그 속에 담겨 있는 한국어의 옛 모습을 찾아 연구
ばならないだろう。
해야 할 것이다.
6
3. 한국어의 유형론적 특징 (1) - 문법범주
3.韓国語の類型論的特徴(1)-文法範疇
3.1. 문법범주의 개념
3.1.文法範疇の概念
문법관념은 매우 다양하여 순수한 관계관념과 같
文法観念は非常に多様で純粋な関係概念と同じ非
은 매우 추상적인 사실을 나타내기도 하고, 상황을
常に抽象的な事実や状況、また場合によっては話者の
나타내기도 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화자의 감정이나
感情や意思を現したりもする。このような文法観念は
의지를 나타내기도 한다. 이러한 문법관념은 ‘언어
「言語活動環境に現れる要素たちの間の関係」を実現
활동 환경에 나타나는 요소들 사이의 관계’를 실현
する。言語活動環境へ現れる要素は話者、聴者、伝達
される言語内容、そして時間と空間である。したがっ
한다. 언어활동 환경에 나타나는 요소들은 화자, 청
て言語活動環境に現れる要素の間の関係には話者が
자, 전달되는 언어내용, 그리고 시간과 공간이다. 따
聴者に対して持つ関係、話者が言語内容である命題に
라서 언어활동 환경에 나타나는 요소들 사이의 관
対して持つ関係、言語内容の中の多くの文法成分の関
계에는 화자가 청자에 대해서 가지는 관계, 화자가
係などがある。これと同じく文法範疇の概念を設定す
언어내용인 명제에 대해 가지는 관계, 언어내용 안
れば韓国語文法において論議されうる文法範疇は次
의 여러 문장성분들의 관계 등이 있다. 이와 같이
の(1)と同じだ。
문법범주의 개념을 설정하면 한국어 문법에서 논의
될 수 있는 문법범주들은 다음 (1)과 같다.
(1) 韓国語文法範疇の類型
a. 話者と関係する
(1) 한국어 문법범주의 유형
1) 聴者に対する態度 ……文章終結法、尊敬表現
a. 화자와 관계됨
2) 命題に対する判断 …………… 時制法、強調法
1) 청자에 대한 태도 …… 문장종결법, 높임법
b. 文章成分の間の関係…………
2) 명제에 대한 판단 ……시제법, 강조법
使役動詞法、受動態法、否定形、格
b. 문장성분 사이의 관계……
사동법, 피동법, 부정법, 격
ところでこのような文法範疇は現代の韓国語で多
様に実現される。次の文章でその例を見ることができ
그런데 이러한 문법범주는 현대 한국어에서 다양
る。
하게 실현된다. 다음 문장에서 그 예를 볼 수 있다.
(2)
(2)
a. 아버지께서1 나를1 타이완으로1 가게
하4시2었2다2.(お父さんは僕を台湾へ行けるようにし
a. 아버지께서1 나를1 타이완으로1 가게 하
た。)
4시2었2다2.
b. 누나가1 동생에게1 밥을1 먹이4고 있4 다2.
b. 누나가1 동생에게1 밥을1 먹이4고 있4 다2.
(お姉さんが弟にご飯を食べさせている。)
c. 어머니 집에1 계시3어2? 응, 계시3어2.
c. 어머니 집에1 계시3어2? 응, 계시3어2.
(お母さんは家にいる?はい、いる)
7
밑줄 친 1 부분은 문법형태인 격조사로 격을 실현
下線部1の部分は文法形態である格助詞で格を実現
하고, 2 부분은 문법형태인 어미로 각각 주체높임법,
し、2の部分は文法形態である語尾でそれぞれ主体尊
敬法、時制法、文章終結法を実現している。3の部分は
시제법, 문장종결법을 실현하고 있다. 3 부분은 어
語彙的な方法で主体尊敬法を実現し、4の部分はそれ
휘적 방법으로 주체높임법을 실현하고, 4 부분은 각
ぞれ派生的方法、統語(辞)方法で使役動詞、進行を実
각 파생적 방법, 통사적 방법으로 사동, 진행을 실
現している。(2c)の‘-어’は音韻的抑揚によって疑
현하고 있다. (2c)의 ‘-어’는 음운적 억양에 의해
問文と叙述分を実現している。このように文法範疇は
의문문과 서술문을 실현하고 있다. 이렇게 문법범주
文法形態だけではなく統語(辞)的方法、派生的方法、
는 문법형태뿐만 아니라 통사적 방법, 파생적 방법,
語彙的方法、音韻的方法などと同じく多様な方法で実
어휘적 방법, 음운적 방법 등과 같이 다양한 방법으
現される。もちろんこの中で最も典型的なものは文法
形態による方法だ。このような文法範疇の実現方法を
로 실현된다. 물론 이 가운데 가장 전형적인 것은
提示すると次の(3)と同じである。
문법형태에 의한 방법이다. 이러한 문법범주의 실현
방법을 제시하면 다음 (3)과 같다.
(3) 現代韓国語文法範疇の実現方法
(3) 현대 한국어 문법범주의 실현방법
문법범주
음운적
문장종결법
○
어휘적
파생적
형태적
통사적
文法範疇
音韻的
文章終結法
○
◉
主体尊敬法
○
○
◉
格体尊敬法
○
○
○
時制法
○
使役動詞法
○
◉
◉
○
受動態法
○
◉
◉
○
○
◉
○
○
◉
주체높임법
○
○
◉
객체높임법
○
○
○
시제법
○
사동법
○
◉
◉
否定法
피동법
○
◉
◉
強調法
부정법
○
○
◉
○
○
격
的
◉
○
○
統語
○
○
○
形態的
○
청자높임법
강조법
派生的
聴者尊敬法
◉
◉
語彙的
格
○
◉
○
◉
(◉表示は主たる実現方法, ○表示は副次的な実現方法)
○
◉
(◉표시는 주된 실현방법, ○표시는 부차적인 실현방법)
8
○
○
3.2.韓国語の文法範疇実現方法
3.2. 한국어의 문법범주 실현방법
언어유형론적인 관점에서, 세계 언어들을 그 형태의 특징
言語類型論的な観点から、世界の言語をその形態の特徴で分
으로 분류한다면, 크게는 분석적 언어와 종합적 언어로 나눌
類するならば、大きくは分析的言語と総合的言語に分けること
수 있다. 분석적 언어의 전형적인 예는 중국어인데, 중국어
ができる。分析的言語の典型的な例は中国語であるのだが、中
에 있어서는 굴곡이나 교착은 거의 없어서 형태론의 문제는
国語においては屈曲や膠着はほとんどなく形態論の問題は非
매우 경시된다. 한 음절이 한 단어가 되며, 이것은 어근임이
常に軽視される。一つの音節が一つの単語になり、これは語根
원칙이다. 따라서 어근에 결합하는 접사는 거의 없다. 그래
であることが原則だ。したがって語根に結合する接続詞はほと
서 문법론에서 거의 대부분은 통사론이 차지한다. 이러한 언
んどない。そのため文法論でほとんど大部分は統辭論が占める。
어를 ‘통사론 중심의 언어’라고 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종
このような言語を「統辭論中心の言語」だということができる。
합적인 언어는 단어와 문장의 한계가 거의 없다. 한 문장은
これに対し総合的な言語は単語と文章の限界がほとんどない。
한 단어로 나타나서 문법론에는 형태론이 대부분을 차지하
一つの文章は一つの単語で現され文法論には形態論が大部分
게 된다. 이러한 언어는 ‘형태론 중심의 언어’라고 할 수 있
を占めるようになる。このような言語は「形態論中心の言語」
다.
だということができる。
これと同じく文法範疇を実現する方法は言語によって違う。
이와 같이 문법범주를 실현하는 방법은 언어에 따라서 다
ここで韓国語と英語の例をとってみよう。
르다. 이제 한국어와 영어의 예를 들어 보자.
(4)
a. 동호가 민희를 좋아하였다.
(4)
b. ドンホが ミンヒを 好きだったのか?
b. 동호가 민희를 좋아하였느냐?
(5)
a. ドンホが ミンヒを 好きだった。
a. John loved Mary.
(5)
b. Did John love Mary?
a. John loved Mary.
b. Did John love Mary?
先ず文章終結の場合、叙述分と疑問文を実現する方法を探っ
먼저 문장종결의 경우, 서술문과 의문문을 실현하는 방법
을 살펴보자. 한국어에서는 종결어미 ‘-다’에 의해 서술문
てみよう。韓国語では終結語尾‘-다’によって叙述分を、
‘-느냐’
을, ‘-느냐’에 의해 의문문을 실현하는 반면, 영어에서는 문
によって疑問文を実現する反面、英語では文章成分が文章に置
장성분이 문장에 놓이는 위치에 따라, 즉 주어가 앞에 놓이
かれる位置によって、即ち主語が前に置かれれば叙述分を、叙
면 서술문을, 서술어가 앞에 놓이면 의문문을 실현한다.
述語が前に置かれれば疑問文を実現する。
다음에 격을 실현하는 경우, 한국어에서는 조사 ‘-가’에
次に格を実現する場合、韓国語では助詞‘-가’によって主格
의해 주격을, ‘-를’에 의해 목적격을 실현하는 반면, 영어에
を、‘-를’によって目的格を実現する反面、英語では叙述語の
서는 서술어 앞에 위치하는 성분이 주격, 서술어 뒤에 위치
前に位置する成分が主格、叙述語の後ろに位置するものが目的
하는 것이 목적격이 된다.
格になる。
위의 예에서 보는 바와 같이, 대체로 한국어는 어미와 조
上の例で見ての通り、おおよそ韓国語は語尾と助詞と同じ文
사와 같은 문법형태에 의해 문법범주를 실현하는 언어이며,
法形態によって文法範疇を実現する言語であり、英語は各文章
영어는 각 문장성분이 문장에서 놓이는 위치에 따라 문법범
成分が文章で置かれる位置によって文法範疇を実現する言語
주를 실현하는 언어이다. 결국 한국어는 주로 어미나 조사와
である。結局韓国語は主に語尾や助詞と同じ文法形態によって
같은 문법형태에 의해서 문법범주를 실현하는 특징을 가진
文法範疇を実現する特徴を持った言語、即ち「形態論中心の言
언어, 즉 ‘형태론 중심의 언어’에 가깝다고 할 수 있다.
語」に近いということができる。
따라서 한국어 문법을 연구하거나 교육할 때에는 무엇보
したがって韓国語文法を研究したり教育するときには語尾
다도 어미와 조사 같은 문법형태의 종류, 기능, 용법에 대해
と助詞のような文法形態の種類、機能、用法に対して正確に理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解することが重要である。
9
4. 한국어의 유형론적 특징 (2) - 어순
4.韓国語の類型論的特徴(2)―語順
문장 안에서 각 문장성분이 놓이는 위치, 곧 문장
文章の中で各文章成分が置かれる位置、すなわち
성분의 배열 순서를 어순이라고 한다.
文章成分の配列順序を語順という。
4.1. 기본어순
4.1.基本語順
그린버그는 세계 여러 언어의 어순을 설명하면서,
グリーンバーグは世界の多くの言語の語順を説
대표적인 문장성분인 주어(S), 서술어(V), 목적어(O)
明しながら、代表的な文章成分である主語(S)、叙
세 요소를 배열할 수 있는 이론적 가능성에 따라
述語(V)
、目的語(O)の三つの要素を配列できる
다음과 같이 어순의 유형을 제시하였다. 이렇게 배
理論的機能性によって次と同じく語順の類型を提
열한 문장성분의 순서를 각각 해당 언어의 기본어
示した。このように配列した文章成分の順序をそれ
순이라 한다.
ぞれ該当言語の基本語順という。
1. SOV
2. SVO
3. VSO
4. VOS
5. OVS
6. OSV
1. SOV
2. SVO
3. VSO
4. VOS
5. OVS
6. OSV
세계 언어의 대부분은 이 가운데 제1, 제2, 제3
世界の言語の大部分はこの中の第1、第2、第3類
유형에 속한다. 그 가운데서도 제1유형과 제2유형
型に属する。その中でも第1類型と第2類型にそれぞ
에 각각 44.78%, 41.79%의 언어가 속한다. 이것은
れ44.78%、41.79%の言語が属する。これは主語よ
주어보다 목적어가 앞에 나오는 VOS, OVS, OSV
り目的語が前に出てくるVOS, OVS, OSV
언어는 아주 희귀하다는 것을 뜻한다. 제4유형(VOS)
非常に珍しいということを意味する。第4類型(VOS)
은 인도양의 섬나라 마다가스카르의 언어를 비롯한
はインド洋の島国のマダガスカルの言語をはじめ
몇몇 언어(Malagasy, Fijian 등)가 속하는데, 이 유
としたいくつかの言語(Malagasy, Fijian など)が属
형의 언어는 약 2% 정도이고, 제5유형(OVS)은 브
するのだが、この類型の言語は約2%程度であり、第
라질 북부에서 사용되는 몇몇 언어(Hixkaryana,
5類型(OVS)はブラジル北部で使用されるいくつ
Apalai, Bacairi, Makusi 등)에서 겨우 보일 정도인
かの言語 (Hixkaryana, Apalai, Bacairi, Makusi な
1% 정도이다. 그리고 제6유형(OSV)은 브라질과 베
네수엘라의
사용
인구가
아주
적은
몇
言語は
ど)でやっと見えるくらいで1%程度だ。そして第6類
언어
型(OSV)はブラジルとベネズエラの使用人口がとて
(Jamamadì, Xavante, Warao)가 있다. 이러한 여러
も 少 な い い く つ か の 言 語 (Jamamadì, Xavante,
유형 중에, 한국어는 제1유형인 SOV에 속한다.
Warao)がある。このような多くの類型の中で、韓国語
は第1類型であるSOVに属する。
10
4.2.自由語順の言語
4.2. 자유어순의 언어
韓国語の基本語順が「主語+目的語+叙述語」だが、
한국어의 기본어순이 ‘주어+목적어+서술어’지만,
文章成分は文章の中で比較的自由に移動することが
문장성분들은 문장 안에서 비교적 자유롭게 이동할
できる。
수 있다.
(6) a. ヨンスが 本を 読んだ。 (主語+目的
(6) a. 영수가 책을 읽었다. (주어+목적어+서술어)
語+叙述語)
b. 책을 영수가 읽었다. (목적어 이동. 목적어에
b. 本を ヨンスが 読んだ。 (目的語移動、
의미 초점을 둠)
目的語に意味の焦点を置く)
문장 (6a)는 ‘주어+목적어+서술어’로 어순이 나타
나 있는 기본어순의 문장이다. 그러나 (6b)는 목적
文章(6a)は「主語+目的語+叙述語」で語順が
어가 주어 앞에 나타나 있다. 이것은 한국어에서 기
現れている基本語順の文章だ。しかし(6b)は目的
본 의미를 바꾸지 않고 목적어가 주어 앞으로 이동
語が主語の前に現れている。これは韓国語で基本の
하여 나타날 수 있음을 보여 준다.
意味を変えずに目的語が主語の前に移動して現れ
ることができることを見せてくれる。
이렇게 문장성분이 문장 안에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 언어를 자유어순의 언어라고
このように文章成分が文章の中で自由に移動で
한다. 그렇지 못한 언어는 고정어순의 언어라고 한
きる特徴を持つ言語を自由語順の言語という。そう
다. 대체로 어순이 문법 기능을 수행하는 데에 관여
できない言語は固定語順の言語という。おおよそ語
하면 고정어순의 언어이고, 그렇지 않으면 자유어순
順が文法機能を遂行するのに関与すれば固定語順
의 언어이다. 자유어순 언어에서는 문장성분의 상대
の言語で、それでなければ自由語順の言語だ。自由
적 위치가 고정되어 있지 않아 자유롭게 이동할 수
語順言語では文章成分の相対的位置が固定されて
있다. 한국어는 주로 활용 어미와 조사에 의해 여러
いないので自由に移動することができる。韓国語は
문법 기능을 실현하기 때문에 비교적 자유롭다. 따
主に活用語尾と助詞によって多くの文法機能を実
라서 기본적으로 ‘주어+목적어+서술어’로 배열되
現するため比較的自由である。したがって基本的に
지만, 문장 (6b)처럼 목적어가 주어 앞으로 이동할
「主語+目的語+叙述語」で配列されるが、文章(6b)
수 있다. 이것은 곧 문장 안에서 문장성분의 이동이
のように目的語が主語の前に移動することができ
자유로움을 뜻한다.
る。これはすなわち文章の中で文章成分の移動が自
由であることを意味する。
그러나 자유어순의 언어라 할지라도 문장성분의
이동이 절대적으로 자유로운 것이 아니고 일정한
しかし自由語順の言語だとしても文章成分の移
조건 아래서만 가능하다. 예를 들어 관형어는 문장
動が絶対的に自由なことではなく一定の条件の下
(7)과 같이 어떠한 경우에도 이 위치에서 이동될 수
でのみ可能である。例えると冠形語(日本語では連
없지만, 부사어는 문장 (8)처럼 여러 위치로 자유롭
体語に相当)は文章(7)と同じくどのような状況に
게 이동될 수 있다. 때로는 수식하는 성분 뒤에도
もこの位置から移動できないが、副詞語は文章(8)
위치할 수 있다.
のように様々な位置に自由に移動できる。時には修
飾する成分の後ろにも位置することができる。
11
(7)
(7)a. 庭の前に咲いた 菊の花が 少し長い。
b. 菊の花が 庭の前に咲いた 少し長い。 (×)
a. 뜰 앞에 핀 국화가 상큼하다.
b. 국화가 뜰 앞에 핀 상큼하다. (×)
(8) a. 金先生はヨンスをたいへん愛された。
b.金先生はたいへんヨンスを愛された。
c. 金先生はヨンスを愛された、たいへん。
(8)a. 김 선생님께서는 영수를 무척 사랑하셨다.
b. 김 선생님께서는 무척 영수를 사랑하셨다.
c. 김 선생님께서는 영수를 사랑하셨다, 무척.
일상생활에 실제 쓰이는 구어 자료를 통해 보면,
日常生活に実際使われる口語資料を通してみる
한국어에서 문장성분의 이동은 아주 흔히 나타나는
と、韓国語で文章成分の移動はとてもよく現れる現
현상이며, 그리고 대단히 자연스럽다. 특히 서술어
象であり、そしてたいへん自然なことだ。特に叙述
語でない成分が文章の一番後ろに移動する場合が
아닌 성분이 문장 맨 뒤로 이동하는 경우가 많다.
多い。これはその成分を文章から離してしまって意
이것은 그 성분을 문장에서 떼어 내어 의미의 초점
味の焦点を置こうとする心理的な意図に見える。日
을 두려는 심리적인 의도로 보인다. 일상생활의 구
常生活の口語資料に見える次の文章(9)、
(10)、
(11)
어 자료에 보이는 다음 문장 (9), (10), (11)은 각각
は主語、目的語、副詞語が文章の一番後ろに移動し
주어, 목적어, 부사어가 문장 맨 뒤로 이동한 예이
た例である。
다.
(9)
a. これをなぜするのか分かりませんでした、私は。
(9)
a. 이거 왜 하는지 몰랐어요, 나는.
b. 専攻科目のうち三つを聞くんですよ、私たちが。
b. 전공과목 중에 세 개 듣거든요, 저희가.
c.連続ドラマをよく見ますか、みなさん?
c. 연속극 잘 봐요, 사람들?
(10)
(10)
a. 우리한테는 안 팔아요, 술하고 담배는.
a.
私たちには売りませんよ、酒とたばこは。
B
.たくさん見ましたか、演劇を?
b. 많이 봤어요, 연극?
(11)
a. 연락 오기 전에 미리 떠요, 인터넷에.
a. 連絡が来る前に前もって見える, インターネットに。
(11)
b.
b. 나도 원래 생각이 깊고 배려를 잘했지, 옛날
私も元々は考えが深くて配慮もちゃんとできてたでしょ、
昔はね。
에는.
c.
c. 아, 이거 처음 것은 원래 버려야 돼, 어차피.
あ、これ最初のものは捨てなければいけないわ、
どうせ。
d. 그 사람이 첫사랑이세요, 혹시?
d. その方が初恋の方ですか、ひょっとして?
4.3. 어순과 문법 특징
4.3.語順と文法の特徴
ところで基本語順はその言語の文法特徴を決定
그런데 기본어순은 그 언어의 문법 특징을 결정
する。例えるとSVO言語は「補助動詞+主動詞」語
짓는다. 예를 들어 SVO 언어는 ‘보조동사+주동사’ 順であり(英語の例: can go)、SOV言語は「主動
어순이고(영어 예: can go), SOV 언어는 ‘주동사+보
詞+補助動詞」言語である(韓国語の例:가고 싶다(行
조동사’ 어순이다(한국어 예: 가고 싶다). 또 SVO
언어에서는 전치사가 발달되어 있고 SOV 언어에서 きたい))。またSVO言語では前置詞が発達してお
りSOV言語では後置詞が発達しているということだ。
는 후치사가 발달되어 있다는 것이다.
このような文法特徴のいくつかの例を挙げてみよう。
이러한 문법 특징의 몇몇 예를 들어보자.
12
어떤 언어가 SOV의 어순을 가지면 반드시 후치사 とある言語がSOVの語順を持てば必ず後置語を持ちS
를 가지고 SVO의 어순을 가지면 반드시 전치사를 VOの語順を持てば必ず前置詞を持つ。韓国語と英語の
例を挙げてみよう。SOV類型の言語である韓国語では
가진다. 한국어와 영어의 예를 들어 보자. SOV 유
文章(a)と同じく後置詞、即ち副詞格助詞が現れるのが
형의 언어인 한국어에서는 문장 (a)와 같이 후치사,
SVO類型の言語である英語では文章(b)と同じく前置
즉 부사격 조사가 나타나는 것이 SVO 유형의 언어
詞に現れる。
인 영어에서 문장 (b)와 같이 전치사로 나타난다.
a. 本が机の上にある。
(12)
(12)
b. The book is on the table.
a. 책이 책상 위에 있다.
b. The book is on the table.
また他の例を一つ挙げてみよう。とある言語がSO
또 다른 예를 하나 들어 보자. 어떤 언어가
Vの語順を持つと補助動詞が本動詞の後ろに置かれ
SOV의 어순을 가지면 보조동사가 본동사 뒤에 놓
SVOの語順を持つと補助動詞が本動詞の前に置か
이고 SVO의 어순을 가지면 보조동사가 본동사 앞
れる。ここでもやはり韓国語と英語の例を挙げてみよ
에 놓인다. 역시 한국어와 영어의 예를 들어 보자.
う。SOV類型の言語である韓国語は文章(a)と同じ
SOV 유형의 언어인 한국어는 문장 (a)와 같이 보
く補助動詞‘싶다’
(日本語:
「~したい」)本動詞‘가다’
조동사 ‘싶다’가 본동사 ‘가다’ 뒤에 놓여 있다.
(日本語:
「行く」)の後ろに置かれている。SVO類型
の言語である英語は文章(b)と同じく補助動詞 can
SVO 유형의 언어인 영어는 문장 (b)와 같이 보조
が本動詞 goの前に置かれる。
동사 can이 본동사 go 앞에 놓인다.
(13) a.나는 집에 가고 싶다.
(13)
a. 나는 집에 가고 싶다.
(日本語:「私は家に帰りたい。」)
b. You can go to the school.
b. You can go to the school.
그 밖에도 명사와 수식절이 놓이는 순서라든가
そのほかにも名詞と修飾節が置かれる順序とか比
비교급과 기준어가 놓이는 순서도 두 유형에 따라
較級と基準語が置かれる順序も二つの類型によって
서로 다르게 나타나는 문법 특성을 지닌다. SOV 유
互いに異なって出てくる文法特性を持つ。SOV類型
형인 한국어는 관형절이 앞에 놓이고, SVO 유형인
の韓国語は冠形節(連体節)が前に置かれ、SVO類
영어는 관형절이 뒤에 놓인다.
型の英語は冠形節(連体節)が後ろに置かれる。
(14) a. 나는 서울에 살고 있는 친구를 만난다.
(14)
a. 私はソウルに住んでいる友だちに会う。
b. I meet a friend who lives in Seoul.
b. I meet a friend who lives in Seoul.
결국 한국어는 주로 어미나 조사와 같은 문법형
結局韓国語は主に語尾や助詞と同じ文法形態によ
태에 의해 문법 기능을 수행하며, 어순은 문법범주
って文法機能を遂行し、語順は文法範疇の実現に大き
실현에 크게 관여하지 않는 언어라고 할 수 있다.
く関与しない言語だということができる。したがって
따라서 한국어를 연구하거나 교육할 때에는 한국어
韓国語を研究したり教育するときには韓国語の基本
의 기본어순과 어순의 특징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語順と語順の特徴を正確に理解することが重要であ
것이 중요하다.
る。
13
5. 문화와 한국어의 특징
5.文化と韓国語の特徴
한국어에서 내리는 ‘눈’은 하나밖에 없다. 그래서
다양한 눈을 표현할 때에는 수식어를 덧붙인다. 함
韓国語で降る「雪」は一つしかない。そのため
박눈, 싸락눈, 진눈깨비 그리고 낭만의 첫눈. 그러나
多様な雪を表現するときには修飾語を付け加え
북극 지방의 이누이트어에서는 눈을 대략 스무 가
る。ぼたん雪、あられ、みぞれ、そしてロマンの
지 이상으로 구분한다. 그 지역의 문화와 어휘의 긴
初雪。しかし北極地方のイヌイット語では雪をお
밀한 관계를 잘 보여 주는 예다.
およそ二十種類以上に区別する。その地域の文化
と語彙の緊密な関係をよく見せてくれる例だ。
알타이어족의 만주퉁구스어파에 속하는 솔론어에는
アルタイ語の満州ツングース語派に属するソル
순록 명칭이 암수, 털색, 털무늬, 나이 등에 따라 매우
ロン語にはトナカイの名称が雌雄、毛の色、毛の
정교하게 나누어져 있다. 순록의 총칭은 ɔrɔŋ이지만
模様、年齢などによって非常に精巧に分けられて
각각의 이름은 적어도 서른 가지나 된다. 몽골어의 가
いる。トナカイの総称はɔrɔŋであるがそれぞれの
축 이름도 이처럼 다양하다. 몽골어로 양은 honi, 염
名前は少なくとも三十種類にものぼる。モンゴル
소는 yamaa, 소는 üher, 말은 aduu, 낙타는 temee이
語の家畜の名前もこのように多様である。モンゴ
다. 그런데 이런 가축들이 한 살 때와 두 살 때 부르
ル語で羊はhoni、山羊はyamaa、牛はüher、馬は
는 이름이 서로 다르다. 예를 들어, 한 살짜리 소는
aduu、ラクダはtemeeだ。ところでこのような家畜
たちが1歳のときと2歳のとき呼ぶ名前が互いに違
tugal이라 부르고 두 살짜리 소는 byaruu라 부른다.
う。例えると、1歳ほどの牛はtugalと呼び2歳ほどの
어휘뿐만 아니라 문법도 그 지역의 문화와 관계
牛はbyaruuと呼ぶ。
를 맺는다. 예를 들어, 한국어나 영어의 경우, 과거
語彙だけでなく文法もその地域の文化と関係を結
시제를 표현하는 것이 한 단계밖에 없다. 즉, 모든
ぶ。例えると、韓国語や英語の場合、過去時制を表
과거는 ‘-었-’이나 -ed로 표현한다. 그러나 과거
現するものは一段階しかない。即ち、すべての過去
시제를 여러 단계로 나누어 표현하는 언어가 있어
は‘-었-’や-edで表現する。しかし過去時制を多く
흥미롭다. 인도 동북부 아삼 지방에서 사용하는 티
の段階に分けて表現する言語があるので興味深い。
インド東北部のアッサム地方で使用するチベット語
베트어의 하나인 미슈미어에는 현재로부터 가까운
のひとつであるミシュミ語には現在から近い過去は-
과거는 -so로 표현하고, 한참 지난 과거는 -liya로
soで表現し、しばらく経った過去は-liyaで表現す
표현한다. hã tapẽ thá-so라 하면 조금 전에 내가 밥
る。hãtapẽthá-soといえば少し前に私がご飯を食べ
을 먹었다는 뜻이고, hã tapẽ thá-liyà라 하면 한참
たという意味で、hãtapẽthá-liyàといえばしばらく前
전에 내가 밥을 먹었다는 뜻이다. 아프리카 잠비아
に私がご飯を食べたという意味である。アフリカの
에서 사용하는 반투어의 하나인 벰바어는 더 다양
ザンビアで使用するバントゥー語のひとつであるベ
하다. 그저께보다 더 과거일 경우는 -ali-, 어제쯤
ンバ語はより多様である。一昨日よりもっと過去の
場合には-ali-、昨日あたりなら-alee-、今朝方のこと
은 -alee-, 오늘 아침쯤이면 -aci-, 한 서너 시간
であれば-aci-、およそ3,4時間くらい前ならば-a-を同
전쯤이면 -a-를 동사에 붙여 과거 시제를 표현한다.
時につけて過去時制を表現する。これらの言語の未
이들 언어의 미래시제도 이렇게 분화되어 있다. 언
来時制もこのように分化されている。言語を通して
어를 통해 생각하는 방식과 문화의 다양성을 확인
考える方式と文化の多様性を確認することができ
할 수 있다. 이렇게 언어와 문화는 매우 밀접한 관
る。このように言語と文化は非常に密接した関係に
계에 놓여 있다.
置かれている
14
이제 한국어에 반영된 한국 문화에 대해 살펴보자. 몽
これからは韓国語に反映された韓国文化について探っ
골어 어휘에서 가축 이름의 다양성이 유목문화의 특징
てみよう。モンゴル語の語彙から家畜の名前の多様性が
遊牧文化の特徴だというのなら、韓国語の語彙には農耕
이라 한다면, 한국어 어휘에는 농경문화의 특징이 담
文化の特徴が込められている。英語のriceに該当する語
겨 있다. 영어의 rice에 해당하는 어휘가 ‘모, 벼, 나
彙が「苗, 稲, 稲, 種籾, 米, ごはん, えさ, 王の食事,
락, 볍씨, 쌀, 밥, 뫼, 수라, 진지’ 등으로 다양하게 분
お食事」などに多様に分化していることがまさしく農耕
화되어 있는 것이 바로 농경문화의 특징이라 하겠다.
文化の特徴だといえるだろう。反対に英語のcupcake,
반대로 영어의 cupcake, croissant, muffin, waffle,
croissant, muffin, waffle, biscuit, rollと同じものは私た
biscuit, roll과 같은 것을 우리는 모두 ‘빵’이라 한다.
ち(ここでは韓国人を指す)はすべて「パン」という。
‘삼태기, 소쿠리, 지게, 바지게, 쟁기, 쇠스랑, 호미, 괭
「あじか、ざる、 背負子、 背負子の一種、犂、鉄製の
熊手鍬、草取り鎌、鍬、唐鍬、鍬の一種、鎌、熊手、シ
이, 곡괭이, 배토괭이, 낫, 갈퀴, 삽, 가래삽, 가래, 고
ャベル、鋤型のシャベル、鋤、T字型の熊手、殻竿、頸
무래, 도리깨, 멍에, 보습, 써레, 두레박, 용두레, 무자
木、犂先、馬鍬、つるべ、低所から水田に水をくみ上げ
위’와 같은 농기구 어휘가 발달해 있는 것 역시 우리
る道具、水揚げ車」のような農耕器具に関する語彙が発
문화의 일면을 보여 준다.
達しているのはやはり我々韓国の文化の一面を見せてく
れる。
친족을 일컫는 어휘는 그 말을 쓰는 사회를 반영하
親族を称する語彙はその言葉を使う社会を反映し
고 있을 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그들의 친족들을 어떻
ているだけでなく人々が彼らの親戚たちをどのよう
게 인식하고 갈래짓는가를 잘 말해 준다. 친족명칭 가
に認識して分類するのかをうまく言い当ててくれ
운데 예를 들어 형제자매를 살펴보면, 말레이어에서는
る。親戚名称の中で例えて兄弟姉妹を探ってみる
자기보다 나이가 많든 적든, 남자든 여자든 형제자매
と、マレー語では自分より年が上であろうが下であろうが、
를 일컫는 말은 sudarā 하나뿐이고, 영어에서는 남자
男であろうが女であろうが兄弟姉妹を称する言葉はsudarāた
냐 여자냐에 따라 brother와 sister로 나뉘어 있다. 그
だ一つだけで、英語では男なのか女なのかによってbrotherと
런데 한국어는 영어처럼 남녀라는 성별도 기준이 되고
sisterに分けられている。ところで韓国語は英語のように男女
여기에다 자기보다 손위인지 손아래인지가 기준이 된
という性別も基準になりここに加えて自分より年上なのか年
下なのかが基準になる。また名称を呼ぶ自分が男なのか女な
다. 또한 부르는 자기가 남자인가 여자인가라는 기준
のかという基準もある。そのため「ヒョン、オッパ、ヌナ、
도 있다. 그래서 ‘형, 오빠, 누나, 언니, 동생’ 등으로
オンニ、兄弟」などに分化されており永らくの伝統文化が言
분화되어 있어 오랜 전통문화가 언어에 녹아 있는 셈
語に溶けているようなものだ。
이다.
韓国語は色の名称もまた多様である。
「黒い、白い、黄色い、
한국어는 색깔명칭 또한 다양하다. ‘검다, 희다, 누르다, 푸
青い、赤い」などと同じく基本語彙があるが、派生語彙がと
르다, 붉다’ 등과 같은 기본 어휘가 있지만, 파생 어휘가 아
ても多様に発達している。
「누르다(黄色い)
」だけを見たと
しても「黄色い、黄ばんでいる、黄色がかっている、うす黄
주 다양하게 발달되어 있다. ‘누르다’만 보더라도 ‘노랗다,
色い、鮮やかな黄色味を帯びている、黄色がかっている、
노르께하다, 노르끄레하다, 노르무레하다, 노르스름하다, 노
点々と黄色がかっている、노르톡톡하다、黄ばんでいる、黄
릇하다, 노릇노릇하다, 노르톡톡하다, 노리께하다, 노리끄레
色がかっている、うす黄色い、 노릿하다、노릿노릿하다、
하다, 노리무레하다, 노릿하다, 노릿노릿하다, 노리톡톡하다,
노리톡톡하다、やや濃いめに黄色い、누리께하다、
누렇다, 누리께하다, 누르끄레하다, 누르무레하다, 누르스름
누르끄레하다、누르무레하다、누르스름하다、누릇하다、
하다, 누릇하다, 누릇누릇하다, 누르툭툭하다, 누르칙칙하다,
누릇누릇하다、누르툭툭하다、누르칙칙하다、真黄色だ,
샛노랗다, 싯누렇다’ 등과 같이 셀 수 없이 많다.
싯누렇다」などのように数え切れないほどたくさんある。
15
어휘뿐만 아니라 문법에도 한국 문화가 녹아 있
語彙だけでなく文法にも韓国文化が溶け込んで
다. 높임법의 예를 들 수 있다. 화자가 청자에게 언
いる。尊敬表現の例を挙げることができる。話者が
聴者に言語内容を伝達する際には多くの意向を抱い
어내용을 전달할 때에는 여러 의향을 품고 전달하
て伝達するが、その中には話し手が聞き手や言語内
는데, 그 가운데는 화자가 청자나 언어내용 가운데
容の中に現れる人に対して敬いの意向を抱いて言語
나타나는 사람에 대하여 높임의 의향을 품고 언어
内容を伝達する。これと同じく話し手がとある対象
내용을 전달한다. 이와 같이 화자가 어떤 대상에 대
に対して尊敬の意向をもって言語内容を表現するの
하여 높임의 의향을 가지고 언어내용을 표현하는
が尊敬表現だ。よく韓国語の特徴を述べる際、外国
것이 높임법이다. 흔히 한국어의 특징을 말할 때 외
語より尊敬表現が発達している点を挙げるほどに、
국어보다 높임법이 발달되어 있는 점을 들 정도로,
尊敬表現は韓国語の特徴として指摘される文法現象
である。
높임법은 한국어의 특징으로 지적되는 문법 현상이
다.
6.韓国語教育の望ましい方法
6. 한국어 교육의 바람직한 방법
韓国語の文法研究と教育では韓国語の基本語順と
한국어 문법 연구와 교육에서 한국어의 기본어순
語順の特徴を正確に理解することが重要である。韓
과 어순의 특징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
国語の基本語順は「主語+目的語+叙述語」の類型
다. 한국어의 기본어순은 ‘주어+목적어+서술어’
で、文章の中で比較的自由に移動することのできる
유형으로, 문장 안에서 비교적 자유롭게 이동할 수
自由語順の言語だ。そして叙述語は比較的位置が固
있는 자유어순의 언어이다. 그리고 서술어는 비교적
定されており文章の後ろに置かれるが、他の文法成
위치가 고정되어 문장 뒤에 놓이나, 다른 문장성분
分は一定の条件の下で移動が自由である。特に口語
들은 일정한 조건 아래에서 이동이 자유롭다. 특히
ででもそれがより顕著である。韓国語が自由語順の
구어에서는 더욱 그러하다. 한국어가 자유어순의 언
言語であることは文法範疇を遂行する装置が文法形
어인 것은 문법범주를 수행하는 장치가 문법형태인
態である語尾や助詞による膠着語と違って述べるな
어미나 조사에 의한 교착어, 달리 말하자면 문법범
らば文法範疇の実現方法から見ると形態論中心の言
주 실현방법에서 보면 형태론 중심의 언어에 매우
語に非常に近い。
가깝다.
そのため韓国語研究と韓国語教育で何よりも重要
그래서 한국어 연구와 한국어 교육에서 무엇보다
なことは文法形態である語尾と助詞の形態の特徴と
도 중요한 것은 문법형태인 어미와 조사의 형태 특
意味―機能の特徴を正確に理解することであり、こ
징과 의미-기능의 특징을 정확하게 이해하는 것이
れに比重を置き正確に教育することが望ましい方法
며, 이에 비중으로 두고 정확하게 교육하는 것이 바
であろう。また韓国文化を理解する根本から韓国語
람직한 방향일 것이다. 또한 한국 문화를 이해하는
を教育することはやはり望ましい方向である事だろ
바탕에서 한국어를 교육하는 것 역시 바람직한 방
う。
향일 것이다.
<번역,翻訳: 髙山 愛,国際文化学部3学年>
16
참고 문헌
参考文献
국립국어원(2010),『우리말의 이모저모』,국립국어원.
国立国語院(2010),『韓国語のあれこれ』, 国立国語院.
権在一(1991), 「韓国語の文法範疇に対する言語類型論
권재일(1991),「한국어 문법범주에 대한 언어유형론
적인 연구」,『언어학』 13, 51-74쪽, 한국언어
的な研究」, 『言語学』 13, 51-74ページ, 韓国言語学会.
학회.
権在一(2012), 『韓国語文法論』, 太学社
権在一(2013), 『世界の言語のあれこれ』, パクイジョン
권재일(2012),『한국어 문법론』,태학사.
(박이정),
권재일(2013),『세계 언어의 이모저모』,박이정.
権在一(2013), 「言語類型論と韓国語教育方法論」, 『韓
권재일(2013), 「언어유형론과 한국어 교육 방법론」,
国(朝鮮)語教育研究』 8, 75-91ページ, 中国韓国(朝鮮)
『한국(조선)어교육연구』 8, 75-91쪽, 중국한
語教育研究学会.
국(조선)어교육연구학회.
ソン・ジェジョン(2012), Word Order, Cambridge:
송재정(2012),Word Order, Cambridge: Cambridg
Cambridge University Press.
e University Press.
イム・ジロン‧イム・チルソン‧イ・ムンギュ‧シム・ヨン
임지룡‧임칠성‧이문규‧심영택‧권재일(2010), 『문법교
テク‧クォン・ジェイル(2010), 『文法教育論』, 図書出版
육론』, 도서출판 역락.
ヨクラク(역락).
Comrie, B. 1989, Language Universals and Ling
Comrie, B. 1989, Language Universals and Linguistic
uistic Typology, second ed., The Universi
Typology, second ed., The University of Chicago
ty of Chicago Press.
Press.
Greenberg, J. (ed.) 1966, Universals of Langua
Greenberg, J. (ed.) 1966, Universals of Language,
ge, second ed., The MIT Press.
second ed., The MIT Press.
Whaley, L. 1997, Introduction to Typology , SA
Whaley, L. 1997, Introduction to Typology, SAGE
GE Publications.
Publications.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