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어학사> 200900155 노수인 1. 조사의 분류 2. 격조사(格助詞) 3. 접속조사(接續助詞) 4. 계조사(係助詞) 5. 부조사(副助詞) 6. 종조사(終助詞) 7. 감탄조사(感歎助詞) 조사(助詞)란? 활용이 없는 부속어를 조사라 한다. 단독으로 쓸 수 없고 반드시 다른 자립어에 붙어서 역할을 할 수 있다. ⓛ단어에 붙어서 그 단어와 다른 말과의 관계를 나 타내는 것 ②그 단어에 어떤 의미를 더해 주는 것 이 있다. ⓛ관계를 나타낸다 격조사 체언, 활용어의 연체형에 붙는다 が の に を へ と より から にて して 활용어에 붙는다 접속조사 계조사 조건을 나타낸다 ば と とも ど ども が に を て して で つつ ながら ものの ものから ものを ものゆゑ 다양한 말에 붙는다 문말에 영향을 준다 は も ぞ なむ や か こそ 다양한 말에 붙는다 정도, 한정의 의미를 나타 낸다 부조사 ②의미를 더해준다 관계를 나타낸다 だに すら さへ のみ ばかり など まで し 문말에 붙는다 종조사 감동, 강조 등의 의미를 더 해준다 な(금지) そ ばや なむ がな もがな てしが にしが な(감동) か かな かも は も ぞ かし 문절 끝에 자유롭게 붙는다 감탄조사 や よ を 감동을 나타내거나 어조를 다듬어준다 주로 체언이나 활용어의 연체형에 붙어서 그 체언 이 같은 문(文)중의 어떠한 관계인가를 나타낸다. 격조사에 의해 관계를 나타내는 방법은 3가지 이 다. 격조사의 기능 조사 주어인 것을 나타낸다. が の 연체수식어임을 나타낸다. が の 연용수식어임을 나타낸다. に を へ と より から にて して きれいな花を写真に撮る。→연체수식어 花がきれいに咲いています。 →연용수식어 체언 또는 연체형에 붙는다. 1. 주어임을 나타낸다. 2. 연체수식어임을 나타낸다. 二千人の人を竹取が家につかはす。 천명의 사람을 대나무 캐는 나뭇꾼 집으로 보내다. 3. 체언에 준하는 것으로, 체언을 대신한다. この歌はある人のいはく、柿本人麿がなり。 어떤사람의 설로는 이 노래는柿本人麿의 노래이다. 체언(또는 연체형)에 붙어서 연용수식어임을 나타 낸다. 1. 2. 3. 4. 5. 6. 때나 장소를 나타낸다. 동작의 대상과 목적을 나타낸다. 변화의 결과를 나타낸다. 동작의 원인, 이유를 나타낸다. 수동이나 사역의 대상을 나타낸다. 비교의 기준(무엇과 비교하는가)을 나타낸다. 일본어 고전문법 126P 참고 1. 동작의 대상이나 목적을 나타낸다. ほまれを愛するは、人の聞きをよろこぶなり。 명예를 사랑하는 것은, 남의 평판을 기뻐하는 것이다. 2. 이동의 기점이나 경과하는 장소, 때를 나타낸다. 船を出だして阿波の水門をわたる。 배를 내어 阿波해협을 건너가다. 1. 동작의 방향을 나타낸다. いづかたより来たりいづかたへか去る。 대체 어디에서 와서 어디로 사라져 가는 것인가. 1. 동작을 함께하는 상대를 나타낸다. 2. 변화의 결과를 나타낸다. 3. 병렬을 나타낸다. 音に聞くと見るときとは、何事も変はるものなり。 소문으로 들을 때와 볼 때는 무엇이나 다른 것이다. 4. 인용을 나타낸다. 春来ぬと人は言へども 봄이 왔다고 남들은 말하지만, 5. 비유를 나타낸다. 紅葉は雨とふるとも、水は増さらじ。 단풍은 비처럼 내려도 물은 불지 않겠지. 1.동작이나 시간의 기점을 나타낸다. 馬より落ちて死ににけり。 말에서 떨어져 죽어버렸다. 2. 수단이나 방법을 나타낸다. ただひとり徒歩よりまうでけり。 단지 홀로 걸어서 참배했다. より와から는 용법이 비슷 하지만, 헤이안 시대에는 より가 일반적으로 쓰였고 무로마치 시대부터 から가 많이 쓰이게 되었다. 3. 비교기준을 나타낸다. その人たちよりなむまさりたりける。 그 사람 용모보다 마음씨가 훌륭하였다. 4. 경유하는 장소를 나타낸다. 木の間より漏りくる月の影。 나무 사이로부터 새어오는 달 그림자. 1. 시간이나 장소를 나타낸다. 京にてうまれたりし女児、国にてにはかに失せにしかば 교토에서 태어난 여아가 지방에서 갑자기 죽어 버렸으므로 2. 수단, 방법을 나타낸다. 船にて渡りぬれば相模の国になりぬ。 배로 건넜더니 相模지방이 되었다. 3. 원인, 이유를 나타낸다. われ朝ごと夕ごとに見る竹の中におはするにて知りぬ。 내가 아침마다 밤마다 보는 대나무 속에 계시므로 알게 되었소 1. 수단, 방법을 나타낸다. 扇してこなたかなたあふぎ散らして。 부채로 이쪽 저쪽 부채질 해서 2. 동작을 함께 하는 상대의 수나 범위를 나타낸다. もとより友とするひとひとりふたりして行きにけり。 이전부터 친구였던 사람 한 사람 두 사람과 함께 갔다. 접속조사란? 활용어 앞에 붙어서 앞의 부분이 어떠한 관계로 이어지는가를 나타낸다. 접속 방법에 따라서 두 가 지로 나눈다. ⓛ 조건접속: 앞부분이 전제조건인 것을 말한다. 의미에 따라 순접/역접으로 나뉨 ② 단순접속: 조건을 나타내지 않고, 순서에 따라 단순히 계속되는 것을 말한다. 1.용언의 미연형에 붙을 때: 순접의 가정조건을 나 타낸다.(もし~ならば) *미연형에 붙는 ば는 형용사(이에 준하는 恋しくは来てもみよかし 그리우면 와서 보아라 활용어)와 조동사ず에 붙을 때 は(wa)로 된다. 2. 용언의 이연형에 붙을 때: 순접의 확정조건을 나타낸다. a. 항상적 조건: 어떤 조건하에서는 언제나 그 일이 일어나는 경우 命長ければ恥多し。 b. 우연적 조건: 어떤 조건하에서 우연히 어떤 일이 일어나는 경우 目を覚まして聞けば、鹿なむ鳴きける。 c. 원인, 이유를 나타낸다. 羽なければ、空をも飛ぶべからず。 종지형(형용사는 연용형)에 붙는다. 1. 역접의 가정조건을 나타낸다. (たとえ~ても) 千年を過ぐすとも、一夜の夢の心地こそせめ。 천년을 지낸다고 해도 하룻밤 꿈과 같은 마음이 들것이다. 이연형에 붙는다. 1. 역접의 확정조건을 나타낸다. (けれども、~が) 文を書きてやれども、返り事もせず。 편지를 써 보내주어도 답장도 하지 않는다. 2. 역접의 항상조건을 나타낸다 (~ても) いかなる大事あれども人の言ふこと聞き入れず。 어떤 큰 일이 있어도 남이 하는 말을 받아들이지 않는다. 연용형에 붙는다. 1.순접확정조건을 나타내고, 그 원인/이유를 나낸다. さはることありてなほ同じところなり。 지장이 있어서 아직 같은 곳이다. 2. 역접확정조건을 나타낸다. なんぢ姿は聖人に似て心は濁りに染めり。 너는 모습은 성인을 닮았는데, 마음은 탁하게 물들었다. 3. 단순한 접속을 나타낸다. 住む館より出でて船に乗るべき所へ渡る。 사는 관사에서 나와서 배를 타야할 곳으로 건나가다. 미연형에 붙는다. 1. 부정의 단순접속을 나타낸다. *で는 ず+て→ずて→で로 되었다는 설이 있다. なにとも知らで侍りしを。 아무것도 모르고 있었는데요. 연용형이나 형용사의 어간 등에 붙는다. 1. 2가지 동작이 병행하여 행해지는 것을 나타낸다. 2. 역접의 확정조건을 나타낸다. 身はいやしながら母なむ宮なりけり。 신분은 천하지만 어미는 왕실 출신이였다. 3. 동작, 상태가 그대로 지속된다는 뜻을 나타낸다. 一年ながらをかし。 일년 내내 정취였다. 연용형에 붙는다. 1. 2가지 동작이 병행하여 행해지는 것을 나타낸다. 水の上に遊びつつ魚を食ふ。 (새가)물 위에 노닐면서 물고기를 잡아먹는다. 2. 동작의 반복이나 계속을 나타낸다. 竹を取りつつよろづのことに使ひけり。 늘 대나무를 캐어 여러가지 일에 썼다. 연체형에 붙는다. 1. 역접의 확정조건을 나타낸다.(が、けれども、のに) 十月つごもりなるに、紅葉散らで、盛りなり。 10월 그믐인데 단풍이 지지 않고 한창이다. 八重桜は奈良の都にのみありけるを、このごろぞ世に多くなりはべるなる。 겹벚꽃은 나라의 도읍에만 있었는데, 이즈음은 세상에 많아진 것 같습니다. 2. 순접의 확정조건을 나타낸다.(ので、から) 涙のこぼるるに、目も見えず、ものも言はれず。 눈물이 흐르는데 눈도 보이지 않고 말도 할 수 없다. わが弓の力は強さを竜あらばふと射落して首の玉は取りてむ。 내 활의 힘은 세서 용이 있으면 휙 쏘아 떨어트려 목의 옥을 취하련다. が는 이 용법이 없음. 3. 단순접속을 나타낸다.(が と ところが) 長門前司といひける人の女二人ありけるが、姉は人の妻にてありける。 長門前司라 하는 사람의 딸이 두 명 있었는데, 언니는 남의 처였다. 怪しがりて寄りてみるに、筒の中光りたり。 이상히 여겨 다가가 보니 대통 속이 빛나고 있다. わら一束ありけるを、夕べにはこれに臥し、朝にはをさめけり。 짚이 한 다발 있었는데 저녁에는 이에 눕고 아침에는 개었다. 4개는 모두 형식명사 『もの』에 격조사 『の』 『か ら』, 또는 접속조사 『を』, 혹은 형식명사 『ゆゑ』 가 연결된 복합조사이다. 연체형에 붙는다. 역접, 또는 순접의 확정조건을 나타낸다. 이 ことゆかぬものゆゑ大納言をそしり合ひたり。 (부하들은 명령이)납득이 되지 않아서 모두들 다이나곤을 비방하였다. 여러 가지 단어에 붙어 강조, 위문, 반어 등의 의미 를 더해준다. 또 이것은 문말에 영향을 준다. 조사 문말의 형태 は も 종지형 ぞ なむ やか 연체형 こそ 이연형 1. 어떤 사물을 다른 것과 구별하여 나타낸다. よき友三つあり。一つには物くるる友。二つには医師。 三つには知恵ある友。 좋은 친구 셋 있다. 하나는 물건을 주는 친구, 둘은 의사 셋은 지혜 있는 친구. 2. 강조를 나타낸다. 敵の手にはかかるまじ。 적의 손에는 걸리지 않으련다. 1. 같은 성격의 것들 중에 특히 하나를 들어 말한다. 心なしと見ゆる者もよき一言いふものなり。 풍류 없는 것처럼 보이는 사람도 (때론) 멋진 한마디 하는 것이다. 2. 물건이나 사항의 병렬을 나타낸다. まことの人は知もなく徳もなく功もなく名もなく。 참된 사람은 지식도 없고 덕도 없고 공도 없고 이름도 없다. 3. 강조를 나타낸다. ほどなく年暮れて春にもなりにけり。 얼마 지나지 않아 한 해가 저물고 봄이 되어 버렸구나. 係り結び법칙 문말의 활용어(용언과 조동사)는 종지형으로 끝나는 것이 보통이지만, 앞에 『ぞ なむ や か』가 있으면 연체형으로, 『こそ』가 있 으면 이연형으로 끝낸다. 이러한 문의 규칙을係り結び법칙이라 한다. 있는 係助詞 係り 용법 ぞ 강조 なむ 강조 や 의문, 반어 かかることや ある か 의문, 반어 いかでか知らむ こそ 강조 結び 예문 雪ぞ 降りける 연체형 이연형 都になむ 行きける 野分のあしたこそ をかしけれ 係り結び의 주의점 係助詞 를 받는 활용어가 법칙에 따라 문을 끝내지 않고 , 생략되거나, 그대로 뒤에 연결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1. 結び의 생략: 係助詞가 있어도 그것을 받는 結び가 생략되는 경우가 있다. 생략되는 단어는 보『あり』 『言ふ』 『思ふ』 『聞く』등으 로 서 생략을 해도 전후의 문맥으로 유추할 수 있을 때 생략된다. 이때는 단어들을 보충함으로써 문을 이해할 수 있다. たびたび强盜に会ひたるゆゑに、この名を付けにけるとぞ。(言ふ) 때때로 강도를 만난 까닭에 이 이름을 붙였다지요. ‘この殿の御心さばかりにこそ’とて、 ‘이 분의 마음 그 정도이신 것을’ 하고, 係り結び의 주의점 係助詞 를 받는 활용어가 법칙에 따라 문을 끝내지 않고 , 생략되거나, 그대로 뒤에 연결되는 경우가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2. 結び의 소멸: 結び의 단어로 문이 끝나지 않고, 뒤로 계속 이 어지는 경우 係助詞가 있어도 문말에 結び는 나타나지 않는다. 많은 경우, 結び의 단어에 접속조사가 연결되는 형대로 사라진다. 人々なむ別れがたく思ひてしきりにとかくしつつ。 사람들이 헤어지기 섭섭하여, 하루종일 이것 저것 하면서 부조사는 체언, 활용어의 언체형, 조사 등 여러 가 지 단어에 붙어서 정도, 한정 등의 의미를 더해준 다. 또 부사와 같은 역할을 하는 조사이므로 부조 사(副助詞)라고 한다. 光やあると見るにほたるばかりの光だになし。 三寸ばかりなる人いと美しうてゐたり。 寒き夕べは大和し思ほゆ。→단어를 강조 • • 종조사는 문말에 붙어서 금지, 소망, 감동, 강조 등 의 의미를 더해준다. 금지 な そ 소망 ばや なむ がな もがな てしか にしか 감동 な か かな かも は も 강조 ぞ かし 금지 な:금지를 나타내며 현대어에도 쓰인다. そ:금지의 부사 『な』와 함께 동사의 영용형에 붙는다.. (な)~そ 의 형 태로 금지를 나타낸다 (な만으로 끝나는 것보다 부드러운 느낌) あやまちすな。心して降りよ。 실수하지 말아라. 조심해서 내려와라 何か射る。な射そ。な射そ。 어째서 활을 쏘겠느냐. __ __, __ __. • • 소망 ばや: 화자자신의 희망을 나타낸다. なむ: 상대가 어떤 일을 해 주기를 바랄 때에 쓴다. 世の中に物語といふもののあんなるを、いかで見ばやと、 세상에 이야기라는 것이 있다고 하는데, 어떻게든 보고 싶구나 하고, いつしか桜咲かなむ。 빨리 매화가 피었으면 좋겠다. • 감동 な、 か: 감동, 감탄을 나타낸다. 花の色はうつりにけりな。 꽃의 색이 변해 버렸구나. 川風の涼しくもあるか。 강바람이 그것 참 시원도 하구나. • • 강조 かし: 다짐 또는 강조를 나타낸다. ぞ: 강한 단정, 의문을 나타낸다. 다짐을 받거나, 강조를 나타낸다. 恋しくは来ても見よかし。 그리우면 와서 보아라 あが仏、何事思ひたまふぞ。思すらむこと、何事ぞ。 나의 소중한 아가여 무엇을 생각하시오. 생각하고 계신 것 무엇이 오? 감탄조사는 문절의 끝이나 문말에 붙어서 감동, 강 조의 기분을 나타내어 어조를 강조하거나 한다. 일 본의 국문법에서는 간투조사(間投助詞) • や よ 1.감동을 나타내거나 상대방의 다짐을 받는 듯한 느낌을 나타낸다. あはれ、いと寒しや。 아 무척 춥다 2. 호징에 붙어서 부를 때에 쓴다. 少納言よ、かろうぼうの雪いかならむ。 少納言이여, 향로봉의 눈은 어떨까. を 1.어조를 강조하고, 가벼운 감동을 나타낸다. • 君があたり見つつを居らむ。 그대 계신 곳을 계속 보고 있겠소. まことにそは知らじを。 참으로 그건 모르겠구나. 끝 참고 문헌- 한미경, 『일본어 고전문법』, 태학사, 2004
© Copyright 2025 ExpyDo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