江戸時代の日本語 2010110953 국제통상학과 이지수 2013111404 경영학과 고주용 目次 1.江戸時代의 역사적 배경 2.江戸時代의 文字 3.江戸時代의 音韻 1. 江戸時代의 역사적 배경 ◦ 1603년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대장군이 되어 에도 에 막부를 개설한 때부터 15대 쇼군 도쿠가와 요 시노부가 정권을 천황에게 반환한 1867년까지의 시기 ◦ 일본의 봉건사회체제가 확립되, 쇼군(將軍)이 권 력을 장악하고 전국을 통일ㆍ지배하였다. 정권의 본거지가 에도여서 에도시대라고 부르며, 정권의 주인공의 성을 따서 도쿠가와시대로 부름 1. 江戸時代의 역사적 배경 ◦ 역사상 유례없는 긴 평화의 시대 ◦ 쇼군이 막강한 권력을 장악하고 전국을 통일지배하는 집권정치 체제가 확립 ◦ 士農工商:엄격한 신분제도의 사회 ◦ 인구 5∼6 %의 무사계급이 80% 이상의 농민과 5∼6 %의 공상(工商)을 지배 ◦ 쇄국 정책 ◦ 출판 사업 융성, 대중 문화 전성 1. 江戸時代의 역사적 배경 「上方」と「下方」 京都と江戸 http://www.youtube.com/watch?v=1hNj_ 4_zT0s 1. 江戸時代의 역사적 배경 ◦ ♦ 문화의 중심이 무사→쵸닌 / 카미가타(관서) → 에도(도쿄) 로 바뀜. 1. 江戸時代의 역사적 배경 江戸御打入り(1590) 上方語 에도시대 전기: 元禄期, 大阪중심의 시대 무로마치 시대 황궁에서 쓰이는 말의 영향, 교토 서민 사이로 퍼지고 오사카에 전해짐 江戸語 에도시대 후기: 文化‧文政期, 江戸중심의 시대 막부 설치 후 다양한 신분의 사람들이 지역 및 신분간의 활발한 교류 속에서 발달 1. 江戸時代의 역사적 배경 1. 江戸時代의 역사적 배경 浮世風呂(うきよぶろ) 上方の女性: へヽ関東〈くわんと〉べいが,才六〈さいろく〉を <ぜへろく>とけたいな詞〈ことば〉つきじやなア。 上方語 江戸語 江戸の女性:そりやそりや。上方〈かみがた〉も悪い悪い。ひかり人 〈て〉ツサ。ひかるとは稲妻〈いなづま〉かへ。おつだネヱ。江戸 〈えど〉では叱〈しか〉るといふのさ。アイそんな片言〈かたこ と〉は申ません。 滑稽本(こっけいぼん)-에도시대 후기의 익살스러운 해학을 묘사한 책 1810년 경, 式亭三馬(しきていさんば) 지음. 공중 목욕탕을 배경으로, 다양한 계층의 인물이 등장해 계층별, 성별, 연령별 다양한 언어를 연구할 수 있는 자료 1. 江戸時代의 역사적 배경 上方語와 江戸語의 대립 발음이 다른 말 활용이 다른 말 上方語 4단활용 足る 借る 飽く 染む 江戸語 상1단활용 足りる 借りる 飽きく 染みる 1. 江戸時代의 역사적 배경 上方語와 江戸語의 대립 자칭 -대명사의 차이 上方語 江戸語 われ、わられ、おれ、わし (무사)これがし、みども、拙者 わたしく、わたし、おれ、おい ら わちき(유녀), わたい(여성) 대칭 お前様、おまへ、こなた、そなた、 あなた、お前(まへ)さん、お前 おぬし、おのし、貴様、われ、そ (まへ),てまへ、おめへ、てめへ、 ち 貴様 (무사)なんぢ、貴殿、御辺、そこ もと 貴様는 전기 교토에서는 경의를 가진 말이었지만 에도 후기가 되면 아랫사람에게 사용하는 말이 되고, 현대어에서는 비하하는 말이 되었다 1. 江戸時代의 역사적 배경 무사어와 쵸닌어의 차이 무사어 : 무로마치의 문장어 바탕, 문어적 표현, 잦은 한자어 사용 (예: 형용사 활용종지형 し, 활용연체형 き, 완료의 조동사 た り, たる) 각각의 사투리를 사용하던 무사들간의 공용어 필요성, 품격유지, 다른 계급신분과의 구별하기 위해 형성됨. 쵸닌어: 구어적 표현. 연모음의 음가와 1단화된 활용을 더 많이 사용 2. 江戸時代의 文字 - 출판사업 성행 - 寺子屋 : 서민교육 - 当て字, 国字, 이체문자, 속자의 증가 -탁점의 사용 : 반탁음은 후기에 와서는 제법 쓰이게 됨 . - 사전 : 節用集(江戸시대에 쓰인 사전) 2. 江戸時代의 文字 ◦ 読本, 人情本 – 한자 쓰임의 증가로 후리가나의 쓰임 증가 ◦ 가나의 주류는 히라가나이지만, 한 학자나 유가의 수필, 학문적 저자는 가타가나를 많 이 썼고, 戯作類에는 스테가나가 보임 ◦ 감동사, 의성어, 끝에 붙는 조사 등에는 가타가나가 쓰임. ◦ 히라가나는 변함없이 변체가나가 많았으나, 서서히 감소 ◦ 定家仮名遣い의 유행으로 가나로 쓰인 서적이 증가 ◦ 契沖가 『和字正濫抄』에서 역사적 가나의 쓰임에 대해 설명 2. 江戸時代의 文字 契沖가 『和字正濫抄 』 - '만요슈'의 주석을 통해 가나 표기법에 대해 상세한 관찰을 행하여, 1695년 저술했으며,이 책에 의해 고대는 말마다 가나 표기법이 정해져 있었다는 것이 밝혀졌다. - 역사적 가나표기법의 기본이 되는 케이츄 가나표기법(契沖仮名遣い)이 성립되었다. 3. 江戸時代의音韻 オ段長音の開合の混合 「開」의「オー」를 「ŏ」,「合」 의「オー」를 「ô」로 구별하던 두 音의 구별이 소멸. 当 [tŏ] / 東 [tô] ☞ [to:] 개합의 구별은 歴史的仮名遣나声明(しょうみょう ) ・謡曲(ようきょく )에만 남았다. 3. 江戸時代의音韻 四つ仮名の混合 ★ジ、ヂ、ズ、ヅの4つの仮名のこと 元禄時代(1688年~1703年)에「ジ」와「ヂ」、「ズ」와「ヅ」가 각각 완전히 동음이 되었다. 「ヂ」「ヅ」이破擦音 [ʥi] [ʣu] ☞摩擦音 [ʑi] [zu] 「ヂ」「ヅ」이「ジ」「ズ」 에 통합 撥音(ン)의 뒤에 따라서는 摩擦音☞破擦音, 条件異音化 진행 어두의四つ仮名이 破擦音와摩擦音에 어느 쪽에 통합될지는 복잡한 양상을 띠었다. 3. 江戸時代의音韻 『蜆縮涼鼓集』(けんしゅくりょうこしゅう) 此四字は、清で読ときに素より各別なるがごとくに、濁りて呼時にも亦同 からず。然るに、今の世の人、しちの二つを濁りては同じようび、すつの 二つをも濁りては一つに唱る。是、甚しき誤り也。 3. 江戸時代의音韻 ★訓読みで しじみ ちぢみ すずみ つづみ 四つ仮名의 발음 구별이 완전히 사라지고 표기에 혼란이 일어난 에도시대에 쓰여진 표기법을 제시한 서적. 제목은 모두 동음 연호에 의한 탁음이 생긴 말의 사례. 당시 지식인 및 시인 등 올바른 표기를 하는 것을 필요한 사람을 위한 것. 3. 江戸時代의音韻 合拗音の直音化 요음에는 キャ・キュ・キョ・シャ・チャ등 「ヤ・ユ・ヨ」을 곁들이는 開拗音과 クヮ・クヰ・クヱ등 「ワ・ヰ・ヱ」을 곁들이는 合拗音이 있었음 前者는現代仮名遣い에서는イ段仮名에小文字의「ゃ・ゅ・ょ」을 표기 後者는 에도시대에 직음화 果(くわ→か)月(ぐわつ→がつ)光(くわう→かう( →こう)) 3. 江戸時代의音韻 音価の変化 ★室町時代 エ、オ (je) (wo) ↓ 江戸時代 (e) (o) ★室町時代 セ、ゼ (ʃe) ( ʒe) ↓ 江戸時代 (se) (ze) 3. 江戸時代의音韻 ハ行子音 奈良時代以前 奈良時代 平安時代末期 江戸時代初期 江戸時代初期 語頭 p φ φ h 語頭以外 p φ w w 葉 pa φa φa ha 川 kapa kaφa kawa kawa 「は」행자음은 나라시대 이전에는 p였으나 나라 시대 이후에는 φ가 되었다. 더욱이 에도 시대에는 h로 바뀌었다. 例「葉」「パ」pa(나라 이전)、「ファ」φa(나라 이후)、「ハ」ha(에도시대~) 3. 江戸時代의音韻 字音의 t入声韻尾가 ツ로 발음되게 됨. パ行子音(p)의 확립. エ段長音이 더해졌다. 3. 江戸時代의音韻 母音の無声化が始まる - 음절 연결에 의해 일정의 법칙에 근거한 모음의 무성화를 한다. - 무성화는 비탁음과 함께 아름다운 말의 발음상 큰 요소가 되었다. - 또렷한 좋은 느낌 있는 일본어 특유의 발음. 3. 江戸時代의音韻 - 無声子音란 『 k・s・t・h・p 』 『 か行 ・ さ行 ・ た行 ・ は行 ・ ぱ行 』 (赤文字이 무성화하는 소리) ■母音 i u 이 무성자음에 낀 경우는 무성화한다. 例 : K i Ku(菊) / C i KaRa(力) / T u KaReR u(疲れる) …등 ■무성자음에 따라 i u 이 말의 끝이 되는 경우 例 : aRiMaS u (あります) / KaK u (書く) / Ki MoT i (気持ち) …등 3. 江戸時代의音韻 連母音の音訛(れんぼいんのおんか) • [ai][ae][oi][oe][ie] 등 → [eː] アイ→エー 二階(にかい)→にけへ 出ない→でねへ 毎日(まいにち) →めへにち 間違(まちかひ) [ →まちげへ ◦ アエ→エー 名前(なまへ)→なめへ こしらえる→こせへる 蛙(かへる)→けへる オイ→エー 一昨日(おおとひ) →おとてへ 強い(つよい)→つゑへ 이러한 音訛는 하층의 사람이나 교양이 낮은 사람에게서 많이 보여졌다. 3. 江戸時代의音韻 그 외에 에도시대의 음운에서는 ヒ와 シ 의 혼동, シュ,ジュ가 シ,ジ가 되는 일 등이 존재했다. ◦감사합니다^^
© Copyright 2025 ExpyDoc