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어일문학과 최희영 語の変化&特徴 -語形変化 -語義変化 -文献学・言語地理学 -位相・文体 語 史 語 – 音声形式と 意味 말의 형태에 입각해서 그 어형, 어의의 변화 를 고찰하는 관점 との結合したもの。 의미를 나타내는 음성 형식과 그 역사적 변화 를 고찰하는 관점 3 語形変化(ゴケイヘンカ) 개별적 단어의 형태 변화. → 어떤 단음(單音), 혹은 음소가 접속한 단음, 음소와 교환,탈락 또는 추가되어서 나타남. ☆비교 : 음운변화 → 형태 변화가 다른 단어에서도 일반화되면 그것은 음운변화. 4 音の交替(コウタイ) ① 음절의 교체 <音節(オンセツ)の交替> – – 음의 위치가 바뀌는 경우 (音位転倒) 例:アラタシ→アタラシイ(新) 반모음음절의 모음절이 탈락한 경우 例:ユク(行)→イク ② 자음의 교체 (子音の交替) – 調音点(チョウオンテン)이 가까운 음소끼리 교체되는 경우가 많다. 例:シジム→チヂム(縮) ケブリ(煙)→ケムリ ミナ→ニナ(蜷) 5 – 有声化(ユウセイカ) 例:シノフ(偲)→シノブ – 無声化(ムセイカ) 例:タギ→タキ(滝) ③ 모음의 교체 (母音の交替) – 順行同化(ジュンコウドウカ) 例: カホハユシ→カハハユシ→カワユイ(可愛) – 逆行同化(ギャッコウドウカ) 例: サズキ→サジキ(桟敷) 6 ④ 발음의 교체 (撥音の交替) 例: フミテ→フンデ→フデ(筆) トイヤ(問屋)→トンヤ ⑤ 촉음의 교체 (促音の交替) 例: ヲヒト(男人)→オット(夫) → [woɸito→oɸto→otto] 7 音の脱落(ダツラク) ① 음절의 탈락 (音節の脱落) – 협모음을 포함한 음절이 탈락하기 쉽다. 例:ハチス(蓮)→ハス ワタクシ(私)→ワタシ –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음절이 연속하는 경우에 탈락현상이 발생하 기 쉽다. 例: カハハラ(河原)→カハラ ② 자음의 탈락 (子音の脱落) – カ・サ・ラ行의 협모음 음절이 탈락하기 쉽다. 例: ツキタチ→ツイタチ(一日) 8 ③ 모음의 탈락 (母音の脱落) – 어두에서, 협모음이 탈락하기 쉽다. 例: イダス(出) → ダス – 어두 이외에서, 같은 모음이 연속했을 경우에 탈락하기 쉽다. 例: ハダアシ(肌足) → ハダシ(裸足) – その他 : イモヒト(妹)→イモウト [ɸi→ɸ→u] ④ 발음의 탈락 (撥音の脱落) 例: ヒンガシ(東)→ヒガシ 9 音の添加(ツイカ) ① 子音の添加 例: クヮンオン(観音)→クヮンノン [連声] ② 撥音の添加 例: カガミル→カンガミル(鑑) ③ 促音の添加 例: モトモ→ モットモ(最) ④ 引き音の添加 例: ヒキ→ヒイキ(贔屓) [長音化] ⑤ 母音の添加 例: イメ(夢) → ユメ [イの半母音化を伴う] ⑥ 音の融合(相互同化) 例: ナガイキ(長息)→ナゲキ(嘆き) 10 語意変化(ゴイヘンカ) 본래의 의미에서 파생하여 다른 의미가 되는 것 1. 처음의 의미가 남지 않고 새로운 의미로만 쓰 임 2. 처음의 의미가 남아서 다의어가 됨 11 ① 전이 (転移) 내재적 성질, 혹은 관계가 영향을 준 사물과 같은 의미로 변해서 사용됨. 「手」 : 手に持っているものから → <トラプの手札> 手で書いたものから → <文字> ② 의미의 유사 (비유적 전용) - 형태의 유사 : 「歯」 →…..> 나막신 밑에 끼우는 ‘두 개의 판자.’ - 상황의 유사 : 「相槌」 →…..> ‘상대방에 이야기에 쳐주는 맞장구’ - 기능의 유사 : 「手」 → …..> ‘부하’ ③ 의미의 근접성 (환유적 전용) - 「馳走」 → 준비하기 위해 뛰어다닌다 > 대접,향응 > 맛있는 음식 - 「内幕」 → 안쪽에 치는 막 > 내부의 사정 ④ 일반화 (확대적 전용) - 「まなこ」 → 눈의 중심에 있는 눈동자 > 안구, 눈 - 「瀬戸物」 →瀬戸의 도자기 > 일반적인 도자기 - 「あんばい」 → 적당히 양념한다 > 음식의 간 > 사물의 상태, 건강상태 12 ⑤ 특수화 (축소적 전용) - 「さかな」 : 술과 야채>술을 마실 때 먹는 조개, 생선, 고기 > 식용생선 ⑥ 의미의 하락 - 「大将」: 한 군의 통솔자 > 동년배 이하의 사람을 편하게 부르는 말 ⑦ 평가의 고정 - 「しあわせ」: (좋고 나쁨과는 관계 없는) 운수, 과정 > 좋은 운수 ⑧ 지시물의 진보적 교체 - 「くるま」: 사람, 사물을 운반하는 바퀴 달린 도구> 시대의 진보와 함께 우차, 인력거, 그리고 자동차를 의미하게 됨. ⑨ 다른 어의와의 혼동 - 「ちがう」: ‘교차하다’라는 의미 + 「たがふ」와의 어형상 유사 > ‘다르다’ 「おうよう」: 「鷹揚」:‘매가 날아오르듯 무용을 떨치는 모습’> 「大様」 와 혼동되어 ‘여유를 즐기는 모습’ 을 뜻하게 됨. 13 語源(ゴゲン) 어떤 말이 오늘날의 형태나 뜻으로 되기 전의 본 디 형태, 뜻 → 어형 어의의 역사를 거슬러 올라간 성립의 기원 예 : 「ひがし」 語源 : 「日向風」 語形 : ヒムカシ→ヒンガシ→ヒガシ 語義 : 東風の意→東の方角 14 意味をめぐる変化 손가락 통명의 변화 12c : 「オヨビ」→「ユビ」 13~14 c : 「~ノユビ」 →「~ユビ」 일반적인 통명의 변화 12c : 小指 15c : 人差指 17c : オヤユビ 19c : タケタカユビ, タカタカユビ → ナカユ ビ 15 指の呼ぶ方。 (前田富祺、1967) 1.親指 - ~11c 중반까지 : オホオヨビ - 잠시 동안 : オホヨビ - 11c ~ 약 17c까지 : オホユビ - 일부 지역, 시기에 :オヨビ, オユビ - 17c 이후 서서히 : オヤユビ 정착 16 2. 薬指 -無名指의 훈독에서 유래된 → ‘ナナジノオユビ’ -12c 즈음 : ナナシノユビ・ ナナシノオユビ・ナナノユビ -‘약사여래’ 유입, 여래상의 인상에서 비롯된 어휘 등장 : クスリノユビ - 15c 경부터 : クスリユビ가 가장 보편적인 말로 정착 - ‘입술에 연지를 바를 때 쓰는 손가락’ : ベニサシユビ・ベニツケユ ビ → 19c 즈음부터 사용범위가 줄어들기 시작. 17 손가락을 지칭하는 다양한 말들은 아직까지도 지역별로 다양하게 남아 있다. 이를 지도에 표시해보면, 1. 제일 오래된 어휘인 ‘『ナナジノ オユビ』 : 東京、京都를 중심으 로 봤을 때 제일 변두리에 있음을 알 수 있다. 2. 반대로, 가장 최근의 어휘인 『ク スリユビ』와 『ベニサシユビ』 가 각각 東京、京都를 중심으로 많이 사용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3. 지방별로 쓰이는 어휘의 종류가 크게 관서, 관동지방으로 나뉘는 것을 볼 수 있다. 4. 현재를 기준으로 본다면, 東京에 서는 『クスリユビ』가 쓰이고 있다 ; 표준어 역시 『クスリユビ』 18 言語地理学 (ゲンゴチリガク) 語의 지리적 분포에 근거해서 그 語의 역 사를 추정하고 밝혀내려는 것. 먼저 언어지도(방언지도)를 작성 → 그 분포를 근거로 사회적, 역사적 조건이나 지세등을 고려하여 해석. 언어사 재구에 있어서의 원칙을 지키면 서 연구해야 함. 19 方言週圏論 (ホウゲンシュウケンロン) - 柳田國男가 주장. - 민속학에서의 개신(改新)에 관한 학설. -방언 분포의 원인을 설명하려는 것으로, 문화의 중심지에서 신어(新語) 또는 신표 현(新表現)이 생겨 세력을 얻으면 그때까 지의 단어나 언어 표현이 밖으로 밀려나간 다는 주장. - 개신의 중심지에서 멀면 멀 수록, 그 힘 은 약화된다. → 따라서 발생이 오래된 단 어일 수록 중심으로부터 먼 지역에서 보 이게 됨. 20 위상과 문체 位相語(イソウゴ) → 각자 속하는 사회집단에서 사용되는 언어. - 성별 : 남성어, 여성어 - 연령별 : 유아어 - 계급, 신분별 : 伊勢제궁의 斎宮忌詞(サイクウイミコトバ)、 21 武家詞(ブケコトバ)、 戦場語(センジョウゴ)、 女房語(ニョウボウゴ)、 廓詞(クルワコトバ)、 遊里語(ユウリゴ) 22 문체 문체의 차이에 근거한 어휘의 양상 鎌倉時代이후 → 書き言葉(文語)가 별도의 체계를 갖 춤 漢文訓読에 사용하는 언어와 和文語의 언어 가 다름. – 어휘에서 차이가 남 語에 대한 아속의식은 이미 존재 23
© Copyright 2024 ExpyDoc